- 웹문서의 첫 부분은 문서유형(document type)을 지정한다. - 위와 같이 선언하여 현재 문서가 HTML5문서임을 명시
웹 문서의 시작을 알리는 <html>태그
- <!DOCTYPE html> 선언 후 HTML파일의 시작과 끝을 표시 - <html>과 </html>사이 웹문서 소스를 작성
cf. <html lang="ko">의 의미?
- lang 속성은 문서에서 사용할 언어를 지정할 수 있다.
- 이는 '한국어로 된 문서'로 범위를 제한시, <html lang="ko">를 우선검색하게 해준다.
웹 브라우저에 문서 정보를 알려주는 <head>태그
- 웹 브라우저가 알아야 할 정보를 입력 - 문서에서 사용할 스타일 sheet file도 이곳에 연결해준다.
📌 <meta> - data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 웹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지정할 때 사용 - 가장 중요한 역할: 화면에 표시될 글자에 대해 어떤 인코딩 사용할 지 지정 ex) 웹서버는 영어가 default라 한국어 사용 시, UTF-8을 적어줘야한다.
<meta charset="UTF-8">
또한, 추가적으로 <meta>태그를 이용해 추가적인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meta name="" content="">
ex)
// 웹 문서의 키워드 지정
<meta name="keywords" content="html의 구조">
// 웹 문서의 설명 지정
<meta name="description" content="html의 구조를 알아보자.">
// 웹 문서의 소유자나 제작자 지정
<meta name="author" content="Hyeongchan Im">
📌 <title> - 웹 문서의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
웹 브라우저에 내용을 표시하는<body>태그
- 앞선 내용들(!DOCTYPE, html, head)은 문서유형 및 정보를 정의하고 입력한 것. - <body>태그는 실제 웹 브라우저에 표시할 내용을 입력한다. - 앞으로 후술할 HTML태그는 대부분 <body> 안에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