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표현 스타일

 

 

 


1. 글꼴 관련 스타일

  • 글꼴을 지정하는 font-family
font-family:<글꼴 이름> | [<글꼴 이름>, <글꼴 이름>]

ex)
body{font-family: "맑은 고딕", 돋움, 굴림}

 

  • 글자 크기를 지정하는 font-size
font-size: <절대 크기> | <상대 크기> | <크기> | <백분율>

절대크기: 브라우저 지정 글자크기
상대크기: 부모요소 글자크기 기준 상대 글자크기 지정
크기: 브라우저 상관없이 글자크기 직접지정
백분율: 부모요소 글자크기 기준 백분율로 지정

 

  • italic체로 표시하는 font-style
font-style: normal | italic | oblique

normal: 기본값
italic: 이탤릭체
oblique: 이탤릭체

 

  • 글자 굵기를 지정하는 font-weight
font-weight: normal | bold | lighter | 100 | ... | 900

normal: 기본값
bold: 굵게
bolder: 더 굵게
lighter: 더 가늘게
100~900: 높은 값일 수록 굵음

 

Ex)
<style>
	body {
    	font-size: 20px;	/*전체 글자 크기*/	
    }
    h1 {
    	font-family: 바탕;	/*글꼴*/
        font-size: 3em;		/*글자 크기*/
    }
    .accent {
    	font-size: 150%;	/*글자 크기*/
        font-weight: 800;	/*글자 굵기*/
    }
    .italic {
    	font-style: italic;	/*글자 스타일*/
    }
    </style> 
...

<h1>레드향</h1>
<p>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span class="accent">레드향</span>이라 불린다.</p>
<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p>
<p class="italic">일반 귤보다 2~3배 크고, 과육이 붉고 통통하다.</p>

 

 


2. 웹 폰트 사용하기

🤔 Web font 사용이유?
- font-family 속성으로 글꼴을 지정할 때, 시스템에 없는 글꼴을 사용가능하다.

🤔 웹 폰트 정의 방법
@font-face {
	font-family: <글꼴 이름>;
    src: <글꼴 파일>[<글꼴 파일>, <글꼴 파일>, ...];
}



🤔 구글폰트 사용하기
Step 1. 구글 폰트 사이트(https://fonts.google.com/)
 

Browse Fonts - Google Fonts

Making the web more beautiful, fast, and open through great typography

fonts.google.com




Step 2. 글꼴 목록 충 마음에 드는 글자 찾아 클릭후 Select 클릭


Step 3. 차례로 아래의 코드를 복사, html 파일에 붙여넣기


Step 4.
<style>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Pen+Script&display=swap');
  	
    h1 {
    	font-size: 60px;
        font-weight: bold;
        font-family: 'Nanum Pen Script', cursive;
    }
  
</style>



 

 

 


3. 텍스트 관련 스타일

  • 글자색을 지정하는 color 속성
color: <색상>

ex)
<style> {
	h1 {
    	color: #0000ff;
    }
    p {
    	color: green;
    }
    .accent {
    color: hsl(0, 100%, 50%);
    font-weight: bold;
    }
    </style>
...

 

  • 텍스트를 정렬하는 text-align 속성
text-align: start | end | left | right | center | justify | match-parent

ex)
...
.center {
	text-align: center;
}
.justify{
	text-align: justify /*양쪽 정렬*/
}

 

  • 글자 간격을 조절하는 letter-spacing, word-spacing 속성
	.spacing1{
    	letter-spacing: 0.2em	/*글자간격 0.2em*/
    }
    .spacing2{
    	letter-spacing: 0.5em 	/*글자간격 0.5em*/
    }
</style>

...

<p>CSS</p>
<p class="spacing1">CSS</p>

 

  • 줄 간격을 조절하는 line-height 속성
...
	.small-line {line-height: 0.7;}	/*글자크기 0.7배 줄간격*/
	.big-line {line-height: 2.5;} /*글자크기 2.5배 줄간격*/
</style>

...

<p class="small-line'>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오동통통</p>

 

  • 텍스트의 줄을 표시 or 없애주는 text-decoration 속성
<body>
	<h1>text-decoration 속성</h1>
    <p style="text-decoration:none">none</p>
    <p style="text-decoration:underline">underline</p>
    <p style="text-decoration:overline">overline</p>

 

  • 텍스트에 그림자 효과를 주는 text-shadow 속성
	.shadow1{
    	color: red;
        text-shadow: 1px 1px black;	/*가로, 세로, 색상*/
    }
    .shadow2{
    	color: #fff;
        text-shadow: 7px -7px 20px #000;	/*가로, 세로, 번짐정도, 색상*/
    }
</style>

<h1 class="shadow1">HTML</h1>
<h1 class="shadow2">CSS</h1>

 

  • 텍스트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ext-transform 속성
	.trans1{text-transform: capitalize;}	/*첫번째 글자를 대문자로*/
    .trans2{text-transform: uppercase;}		/*전체글자를 대문자로*/
</style>

<p class="trans1">html</p>
<p class="trans2">css</p>

 

 


4. 목록 및 표 스타일

📌 목록

  • 불릿 모양과 번호 스타일을 지정하는 list-style-type 속성

	.book1 {
    	list-style-type: none;
    }
    .book2 {
    	list-style-type: uppercase;
    }
</style>

 

  • 불릿 대신 이미지를 사용하는 list-style-image 속성
	ul {
    	list-style-image: url('img/dot.png');
    }
</style>

ex)
<ul>
	<li>Just Do it!</li>
    ...
</ul>

 

  • 목록을 들여쓰는 list-style-position 속성
list-style-position: inside | outside;

ex)
	.inside {list-style-position: inside;}
<style>

<ul class="inside">
	<li>Do it!</li>

 

 

 

 

 

📌 표

  • 표 제목 위치를 정해주는 caption-side 속성
  • 표에 테두리를 그려 주는 border 속성
  • 셀 사이 여백을 지정하는 border-spacing 속성
  • 표와 셀 테두리를 합치는 border-collapse 속성

기본 CSS

📌 HTML: 웹 문서의 내용을 맡고!
📌 CSS: 웹 문서의 디자인을 담당!

 


1. 웹 문서에 디자인 입히기

🤔 Style이란?
- HTML문서에서 자주 사용하는 "글꼴, 색상, 정렬, 배치방법 등"
- 위와 같이 "문서의 겉모습, 즉 디자인을 결정짓는 것"

- 내용과 디자인을 HTML과 CSS로 나누기에 수정 시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내용은 그대로이지만 디자인만 바꿔 완전히 다른 느낌의 문서로 만들 수도 있다.

 

 

 

 


2. Style. &. Style Sheet

🤔 Style 형식
선택자 { 속성1:속성값;  속성2:속성값2 }

- 맨 앞의 선택자: 스타일을 어떤 태그에 적용할 것인지 알려주는 것.
- { }안에 스타일 정보를 넣는다. (이때, ;으로 구분, 여러 스타일 규칙을 지정가능)

Ex. 글자를 가운데로 정렬 및 파란색 글자로 지정하고 싶을 때,
<p> 태그에 스타일 적용하기

p {
	text-align; center;	/*텍스트 정렬; 중앙;*/
    color: blue;		/*글자색; 파랑;*/
}




🤔 Style Sheet
스타일 규칙을 한눈에 확인 및 필요 시 수정하기 쉽게 한군데 묶어 놓은것.
크게 스타일 시트는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 웹브라우저에 기본으로 만들어져 있음
 - 사용자 스타일: 사이트 제작자가 만듬
     i) 인라인 스타일
    ii) 내부 스타일 시트
    iii) 외부 스타일 시트
 


Ex) 인라인 스타일
<h1>레드향<h1>
<p style="color: blue;">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레드향이라 불린다.</p>
<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 일반 귤보다 2~3배 크고 과육이 붉고 통통하다.</p>
<p>비타민 C와 비타민 P가 풍부해 혈액순환, 감기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p>​



Ex) 내부 스타일 시트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상품 소개 페이지</title>
    
    <style>
    	h1{
        	padding: 10px;
            background-color: #222;
            color: #fff;
        }
    </style>
    
</head>
<body>
<h1>레드향</h1>
<p style="color: blue;">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레드향이라 불린다.</p>
<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 일반 귤보다 2~3배 크고 과육이 붉고 통통하다.</p>
<p>비타민 C와 비타민 P가 풍부해 혈액순환, 감기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p>
</body>
</html>​



Ex) 외부 스타일 시트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	
    /*외부 스타일 시트 연결*/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
</head>​

 

 

 


3. CSS 기본 선택자

  • 전체 선택자
  • 타입 선택자
  • 클래스 선택자
  • id 선택자
  • 그룹 선택자
📌 전체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하는 전체 선택자
<style>
	* {속성: 값; ...}​

 

- 웹 브라우저의 기본 스타일을 초기화 하는 등의 방식에서 자주 사용.
- 문서내용과 브라우저 테두리 사이 여백여부에 따라 margin과 padding을 사용.
여백 없애는 방법: margin이나 padding을 0으로 함.
<style>
	*{
    	margin: 0;
    }
</style>​



📌 특정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하는 타입 선택자
<head>
	<style>
    p {
        font-style: italic;
    }

    ...
    
<body>
	...
    	/*아래 모든 p요소에 스타일이 적용됨*/
		<p>...</p> 
        <p>...</p> 
        <p>...</p>​



📌 특정 부분에 스타일을 적용하는 클래스 선택자
...
<h1 class="A">레드향</h1>
<p>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span class="A">레드향</span>이라 불린다.<p>
<p>...</p> 
<p>...</p>​
- 같은 태그더라도 특정 부분만 선택해 스타일을 적용하려 할 때


📌 특정 부분에 스타일을 한번만 적용할 수 있는 id 선택자
<style>
	#아이디명 {  스타일 규칙  }​


Ex)
<style>
	#container {
    	width: 500px
        margin: 10px auto;
        padding:10px;
        border: 1px solid #000
    }
<style>

<div id="container">



📌 같은 스타일 규칙을 사용하는 요소들을 묶어주는 그룹 선택자
선택자1, 선택자2 { 스타일 규칙 }​


Ex)
h1, p{
	text-align: center;  /* 두 태그(h1, p)중앙 정렬 */
}​

 

 


4. Cascading Style Sheet

  • cascading이란?
    • 스타일 시트에서는 우선순위가 위에서 아래 (=계단식) 방법으로 적용된다는 의미
    • 즉, 웹 요소에 둘 이상 스타일 적용 시, 우선순위에 따라 적용된다.

 

[스타일이 충돌하지 않게 하는 방법]

  1. Style 우선순위
    • 얼마나 중요한가? : 사용자 스타일 > 제작자 스타일 >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
    • 적용범위는 어디까지인가? : !important > 인라인 스타일 > id 스타일 > 클래스 스타일 > 타입 스타일
    • 소스코드의 작성 순서는 어떠한가? : 나중에 작성된 것이 앞서 작성한 스타일을 덮어 씀
  2. Style 상속
    • 부모 요소: 포함하는 태그
    • 자식 요소: 포함되는 태그
      • ex) <body>의 모든 요소는 부모 요소

 

 

 

 

[웹 문서 뼈대를 만드는 HTML]

- 웹 브라우저 창에 웹 문서의 내용을 보여주는데 필요한 약속

- 제목, 본문 등의 웹 요소를 알려주는 역할

- HyperText Markup Language

 

 

 

[웹 문서를 꾸미는 CSS]

- HTML로 만든 내용을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꾸미거나 배치

- CSS를 이용해 웹요소를 적절하게 배치, 강조 가능

- Cascading Style Sheet

 

 

[사용자 동작에 반응하는 JS]

- 사용자의 동작(스크롤, 클릭)에 반응(동적인 효과)

- React같은 JS Framework를 위해 사용.

- JavaScript

 

 

 

 

 

[Frontend 개발을 위한 tech]

Javascript의 framework

 

[Backend 개발을 위한 tech]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