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TRI (2024.01.24)

📌 01.23-TODO List:

1. DAOD적용 - 진행중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Exercise 풀기.

- Chapter 6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2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2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5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1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3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4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5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6읽고 공부하기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 출근! (8:00 - 8:30)

어제 10시정도에 자서 오늘은 3시 40분정도에? 기상하였다.

확실히 일찍자고 일찍일어나니 충분히 잘수도 있었고 좋았던 것 같다.

 

 



 
 
 
 

📖 공부! (9:00-12:00)

∙ Deep Learning(Bishop 2024): 번역 진행.
- Chapter 6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2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20 읽고 공부하기(短)
 
 
 
 

🍚 밥이다 밥! (12:30~13:00)

마찬가지로 서편제(한식): 걍 앞으로는 고기많이 나오는 동편제 먹어야지...
후식으로는 내돈내산 녹차프라푸치노!! << 솔직히 이게 제일 맛도리임
 

 

 
 
 
 

 
 

📖 공부! (13:30-18:00)

DAOD이어서 진행!
 
 
 
 
 
 
 
 
 
 
 

 

 
 
 
 
 

 
 

🚍 퇴근! (18:30 - 19:00)

퇴근이 제일 좋다는 직장인의 말에 공감이 점점된다ㅋㅋㅋ
아침출근때문에 그냥 졸리다ㅋㅋ 피곤🩸하고ㅠㅠ



 
 
 
 

🏋🏻 운동! (19:00 -)

이제 3대 운동보단 좀 더 세분화해서 A,B루틴 안하는 날에는 가슴,삼두, 등,이두, 어께 위주로 해봐야겠다.
아 그리고 데드나 스쿼트의 경우에는 조금 텀을 둬야겠다...
격일마다 무겁게만 하다보니 오히려 퍼포먼스가 안나오는 느낌?
그래서 스쿼트와 데드의 경우에는 일주일에 1~2번정도만 본세트무게로❗️
나머지는 평소드는 무게의 8~90%정도의 중량만 들어야겠당

 

 

[정리]: 5x5 Strength + Local Muscle Strength Training for me


 
 

🏋🏻 운동 월간 계획:

A→a→B→b→A→a→B→

b→A→a→B→b→A→a→

B→b→A→a→B→b→A→

a→B→b→A→a→B→b→


 

🏋🏻 이번주:

B→b→A→a→B→b→A
 

🏋🏻 오늘:  A루틴


 

 
 

📌 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Exercise 풀기.

<해석 끝>
- Chapter 6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2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20 읽고 공부하기

<해석도 해야할 것.>
- Chapter 5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1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3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4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5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6읽고 공부하기


 

'2024 winter > ETRI(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RI] 2024.01.26  (0) 2024.01.26
[ETRI] 2024.01.25  (0) 2024.01.26
[ETRI] 2024.01.23  (2) 2024.01.23
ETRI 2024.01.22  (0) 2024.01.22
[ETRI] 2024.01.19  (0) 2024.01.19

🏢 ETRI (2024.01.23)

📌 01.22-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Exercise 풀기.

- Chapter 6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2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2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5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1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3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4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5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6읽고 공부하기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 출근! (8:00 - 8:30)

어제 10시정도에 자서 오늘은 3시 40분정도에? 기상하였다.

확실히 일찍자고 일찍일어나니 충분히 잘수도 있었고 좋았던 것 같다.

 

 



 
 
 
 

📖 공부! (9:00-12:00)

∙ Deep Learning(Bishop 2024): 번역 진행.
- Chapter 6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2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20 읽고 공부하기(短)
 
 
 
 

🍚 밥이다 밥! (12:30~13:00)

마찬가지로 서편제(한식): 동편제 치킨 나왔는데...ㅠㅠ 다 떨어져서 서편제 받아버렸다...
후식으로는 내돈내산 레몬요거트스무디!!
 

 

 
 
 
 

 
 

📖 공부! (13:30-18:00)

이어서 진행!
 
 
 
 
 
 
 
 
 
 
 

 

 
 
 
 
 

 
 

🚍 퇴근! (18:30 - 19:00)

퇴근이 제일 좋다는 직장인의 말에 공감이 점점된다ㅋㅋㅋ
아침출근때문에 그냥 졸리다ㅋㅋ 피곤🩸하고ㅠㅠ



 
 
 
 

🏋🏻 운동! (19:00 -)

이제 3대 운동보단 좀 더 세분화해서 A,B루틴 안하는 날에는 가슴,삼두, 등,이두, 어께 위주로 해봐야겠다.
아 그리고 데드나 스쿼트의 경우에는 조금 텀을 둬야겠다...
격일마다 무겁게만 하다보니 오히려 퍼포먼스가 안나오는 느낌?
그래서 스쿼트와 데드의 경우에는 일주일에 1~2번정도만 본세트무게로❗️
나머지는 평소드는 무게의 8~90%정도의 중량만 들어야겠당
 
 

🏋🏻 운동 월간 계획:

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
(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
(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
 

🏋🏻 이번주:

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
 

🏋🏻 오늘:  B루틴


 

 
 

📌 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Exercise 풀기.

<해석 끝>
- Chapter 6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2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20 읽고 공부하기

<해야할 것.>
- Chapter 5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1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3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4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5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6읽고 공부하기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2024 winter > ETRI(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RI] 2024.01.25  (0) 2024.01.26
[ETRI] 2024.01.24  (1) 2024.01.24
ETRI 2024.01.22  (0) 2024.01.22
[ETRI] 2024.01.19  (0) 2024.01.19
[ETRI] 2024.01.18  (0) 2024.01.18

🏢 ETRI (2024.01.19)

📌 01.18-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 Periodic Variables3.4. The Exponential Family3.5. Nonparametric Methods
3.5.1
3.5.2
3.5.3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 출근! (8:00 - 8:30)

어제 10시정도에 자서 오늘은 3시 40분정도에? 기상하였다.

확실히 일찍자고 일찍일어나니 충분히 잘수도 있었고 좋았던 것 같다.

 

 



 
 
 
 

📖 공부! (9:00-12:00)

∙ Deep Learning(Bishop 2024): Chapter 3 이다.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5.1
3.5.2
3.5.3


 
하하... 끝났다 하하하하
 
 
 
 
 

🍚 밥이다 밥! (12:30~13:00)

마찬가지로 동편제(한식): 돈까스... 뭐 그런게 나왔다.
후식으로는 내돈내산 에스프레소프라푸치노(실수로 생크림 추가해버렸다ㅋㅋㅋ)
 

 

 
 
 
 

 
 

📖 공부! (13:30-18:00)

이어서 진행!
 
 
 
 
 
 
 
 
 
 
 

 

 
 
 
 
 

 
 

🚍 퇴근! (18:30 - 19:00)

퇴근이 제일 좋다는 직장인의 말에 공감이 점점된다ㅋㅋㅋ
아침출근때문에 그냥 졸리다ㅋㅋ 피곤🩸하고ㅠㅠ



 
 
 
 

🏋🏻 운동! (19:00 -)

이제 3대 운동보단 좀 더 세분화해서 A,B루틴 안하는 날에는 가슴,삼두, 등,이두, 어께 위주로 해봐야겠다.
아 그리고 데드나 스쿼트의 경우에는 조금 텀을 둬야겠다...
격일마다 무겁게만 하다보니 오히려 퍼포먼스가 안나오는 느낌?
그래서 스쿼트와 데드의 경우에는 일주일에 1~2번정도만 본세트무게로❗️
나머지는 평소드는 무게의 8~90%정도의 중량만 들어야겠당
 
 

🏋🏻 운동 월간 계획:

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
(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
(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
 

🏋🏻 이번주:

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
 

🏋🏻 오늘:  B루틴


 

 
 

📌 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Exercise 풀기.

- Chapter 6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0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2 읽고 공부하기
- Chapter 17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8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19 읽고 공부하기(短)
- Chapter 20 읽고 공부하기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2024 winter > ETRI(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RI] 2024.01.24  (1) 2024.01.24
[ETRI] 2024.01.23  (2) 2024.01.23
[ETRI] 2024.01.19  (0) 2024.01.19
[ETRI] 2024.01.18  (0) 2024.01.18
[ETRI]2024.01.17  (0) 2024.01.17

[사전조사 배경지식 정리]

1. 용어정리

DAOD: Domain Adaptation Object Detection

leverage: 영향, 활용

Cross Domain:
 2개간의 Domain간의 연결 or 관련성, 결합 등을 의미

Domain Discrepancy: domain간의 distribution이 불일치하는 것, 이로인해 일반화가 쉽지 않음.

Domain Shift: Cross Domai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Imbalance와 Consistency없는 Domain shift의 경우, Tgt이 적으면 DA가 어려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들을 다양한 level에서 활용.
ex) img-level, instance-level, pixel-level, category-level, ...

Domain Invariance: Domain불변성을 결과적으로 학습하는것이 목표인 논문들이 많음.

Domain Alignment: 두 Domain에 대해 일치(정렬)시키는 것.
이때, 보통 두 Domain간의 feature distribution alignment를 통해 이루어진다.

Unsupervised Learning Object Detection: Label 혹은 Annotation이 없는 Target Domain문제에 대한 학습
Semi-supervised Learning Object Detection: Label을 teacher모델이 생성(이를 pseudo labeling이라 함), 이를 이용.

 

 

2. 발전현황:

[2018]:

∙ Supervised Learning기반. Domain Shift에 초점, Domain discrepancy(불일치)감소에 초점.

 특히 DANN 이후로 Adversarial Training방식이 주를 이룸.

 

[2020]:

 중간에 도메인을 하나 더 넣거나 등의 Tgt Imbalance 문제해결방법.

 Domain의 Class Imbalance문제 완화를 위한 방법

 특히 이때부터 Unsupervised DAOD가 각광받음❗️

 Domain-Invariance 학습을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짐.

 SSD를 이용, 단지 하나의 Tgt Sample만 필요한 one-shot기법도 나옴.

 

[2021]:

 Domin불변성 + 식별력 유지 둘을 동시에 잡기위해 Faster R-CNN에 다른 기능들을 추가시킴.

 또한, 저차원의 Src, Tgt feature Domain을 맞추는 것에 대한 중대성강조로 저/고차원 특징을 결합하는 등의 시도도 발생.

 semi-supervised learning에서 pseudo-label noise극복을 하려함.

 Src, Tgt모두 없이도 DAOD를 가능하게하려고 여러방법들을 도입한 논문발표(이번 review논문)

 또한, Data Augmentation방법들도 여럿 도입됨.

 

[2022]:

 Domain Adversarial Training, Data Augmentation은 약간 국룰화?처럼 되는 뉘앙스

∙ pseudo label을 다루기 위해 여러 시도들 발생

 

 


 

 

 

Abstract

🧐 저자의 제안:

UnLabeled Src Data →Tgt에 최적화가 주목
이를 위해 저자는 SFOD프레임워크를 제안

[SFOD] (Source Data-Free Domain Adaptive Object Detection):
Src Data없이도 DA탐지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Noise있는 Label로 학습하는 것으로 모델링한다.

일반적으로 Src에서 pretrained모델을 활용, Tgt의 가짜라벨생성을 한다.
하지만 Tgt Domain라벨이 없으면, 이런 가짜라벨생성에 대한 평가가 어렵다.

→ SED(Self-Entropy Descent)라는 평가지표 도입!
SED: 가짜라벨에 대해 적절한 신뢰임계값결정을 위해 도입한 metric



다만, 완전히 깨끗한 라벨을 얻는 것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실험결과 생성된 노이즈가 있는 라벨에서 FN이 지배적임을 발견.
개선을 위해 FN mining이 도움이 되며, Mosaic와 같은 데이터 증강을 통해 FN시뮬레이션을 용이하게 한다.


🧐 개인 생각 정리:

핵심:

Src Domain에서 pretrained만 사용, supervision signal을 제공
→ 즉, Tgt으로 pseudo labeling되어 noise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


문제점 1:
Src, Tgt에 대한 label이 모두 없기에 pseudo label에 대한 평가가 어려움
 SED라는 평가지표 도입❗️

문제점 2:
다만, clean label얻기는 어려움---noise에서 FN, FP가 지배적
 FN Mining, Data Augmentation(e.g. Mosaic)으로 이를 개선❗️

 


Introduction & Main contribution

제안된 SFOD pipeline, 주어지는 supervision신호는 Src Domain의 adapt를 위해 pre-trained model에만 제공됨.


Object Detection의 발전은 단지 수동라벨링된 Train data에 의존해서 향상되어 왔다.
이는 새로운 환경이나 Data 분포가 다른 경우(e.g. 물체외관, 배경타입, 날씨 등 다양한 요인) 일반화가 쉽지 않다는 한계점이 존재.


그렇다면, 어떻게 pre-trained model을 supervision 없이 label-rich Src Domain → unlabeled Tgt Domain...?
이 UDA를 위해 많은 방법들이 고안됨
 ∙ Domain-invariant features를 alignment 하는 방식
 ∙ Domain distribution 근접화 방식
 ∙ 두 domain간 similarity를 측정해 pseudo labeling 하는 방식
이는 두 Domain이 관련되었지만 다름을 의미
→ 따라서 두 Domain간 접근이 자유로울 필요성이 존재하지만 challegeable함.


이미 Classification에서는 Src-data free한 방식이 좋았으나 Detection에서는 여전히 시도되지 않았었음.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문제 해결을 위해 SFOD(Source data-Free domain adaptive Object Detection)라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접근방법을 소개함.

 SFOD : pre-trained Src모델을 활용, DA과정을 분리.

🔑  Idea :

신뢰가능한 pseudo label을 활용해 Tgt모델을 self-learning방법으로 training.

❓ 자연스러운 의문점:

이제 남은 자연스러운 질문은 2가지이다.
 ∙ 어떻게 pseudo label의 품질을 평가할 것인가
 ∙ 어떻게 Noisy Label로 학습할 것인가?

 


Classification의 경우, 고정된 sample수였지만
Detection의 경우, Negative sample이 무수하기에 매우 도전적인 과업이다.
(많은 positive가 box로 둘러쌓여있어서 negative와 섞여있기 때문.)


그렇기에 신뢰가능한 소수의 sample로는 좋은성능을 달성할 수 없음
(
One-Shot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for Object Detection (IEEE 2020))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느낌.

Sol) 적절한 신뢰도임계값으로 Bbox를 직접 P/N을 부분 filtering하는 것이다.
물론, Detection에서는 FP,FN같은 noisy labels는 무조건 존재하고, Tgt모델은 여전히 "집단지성의 원칙"을 따라 최적화 가능하다.
("집단지성의 원칙": 여러 모델이나 다수의 예측을 종합하거나, 다수의 샘플의 정보를 활용하여 모델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하지만 supervision metric이 없어 적절한 신뢰도임계값 찾기란 어렵다.
noisy label로 신뢰도임계값이 너무 높거나 낮을 수 있기때문에 적절한 신뢰도임계값 탐색이 필요하다.

 

SED :Search Confidence threshold

이를 위해 등장한 Self-Entropy Descent는 전술한 신뢰도임계값을 찾기위해 제안된다.

Self-Entropy

예측 불확실성은 Self-Entropy로 계산된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자가 엔트로피가 낮을수록 더 예측이 확실하다."
신뢰도 임계값을 탐색함과 동시에, 생성된 가상 라벨을 사용해
pre-trained model을 fine-tuning하고
그 후 훈련 이후 데이터셋의 Self-Entropy를 평가한다.

"라벨이 더 지저분할수록 더욱 라벨을 맞추기가 어려워진다." (사실 당연한 소리다.)
∴ 신뢰도임계값↓  평균 Self-Entropy↓ → 첫 local-minimum에 도달 시, 
이를 신뢰가능한 pseudo label생성을 위한 적절한 신뢰도임계값으로 선택.

이 솔루션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장난감 실험을 설계.
구체적으로, 생성된 pseudo label은 FP와 FN.
실험 분석을 통해 FN이 작고 가려진 객체와 같은 noisy label에서 주를 이루는 것을 발견.

 

FN Mining & Mosaic :FN의 영향 완화

또한 Mosaic(Bochkovskiy, Wang, and Liao 2020)와 같은 데이터 증강을 통해
거짓 음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이 솔루션을 FN시뮬레이션으로 완화.


🧐 Main Contribution

i) Src data-free인 UDA-OD의 첫번째 시도.
ii) Src data-free인 UDA를 noisy label학습을 통해 혁신적으로 모델링, 해결.
iii) Src data사용을 안하고도 매우 좋은 성능, 다른 Src data based를 능가.


🧐 개인 생각 정리:

핵심: SFOD,  SED,  FN Mining

SFOD 배경: pre-trained model을 supervision 없이 label-rich Src Domain → unlabeled Tgt Domain
SFOD 역할: 
pre-trained Src모델을 활용, DA과정을 분리.

 


SED배경: 
적절한 신뢰도임계값으로 Bbox를 직접 P/N을 부분 filtering해야하고,
이를 위해 신뢰도 임계값 평가를 위한 supervision metric이 필요.
SED역할: 
예측 불확실성을 Self-Entropy로 계산, 신뢰도임계값 탐색 및 생성된 가상 라벨을 사용해
pre-trained model을 fine-tuning하고 훈련 이후 데이터셋의 Self-Entropy를 평가



FN Mining배경: 
생성된 pseudo label은 FP와 FN이 noisy label이 주를 이룸.
FN Mining역할: 
Mosaic와 같은 데이터 증강으로 FN완화.


[요약]:
Step 1. pseudo Label 생성
신뢰도가 높은 소수의 sample(= Tgt)으로는 좋은 성능을 달성할 수 없다. 
Sol) 적절한 신뢰도임계값으로 Bbox를 직접 P/N을 부분 filtering하는 것

이를 위해 적절한 supervision metric이 필요 → SED: Self-Entropy Descent❗️
이렇게 평가된 예측불확실성으로 신뢰도임계값 탐색 → pseudo label 생성에 도입.

Labeled Src Data로 Faster R-CNN을 pre-train시킨 이후
이를 Unlabeled Tgt Data에 fine-tuning시켜 pseudo label생성에 동시에 도입.

Step 2. 생성된 pseudo Label의 FN완화
생성된 pseudo label은 FP, FN등이 noisy label이 주를 이룬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FN Mining, Mosaic Augmentation을 이용.

 

 


 

Related Works

∙ DAOD

DA-Faster(Chen et al. 2018)이라는 논문이 UDA Object Detection 진보를 이끌어낸 효시가 되는 논문.

생성된 노이즈가 있는 라벨에서 FN이 지배적임을 발견.

그 이후 초록색표시한 방법들이 많이 나왔음:
 - Labeled Src Data
 - Unlabeled Tgt Data 
2개가 필히 필요함.

우리는 Src data 없어도 되서 실제적용에 실용적.


∙ DA without Src Data


Classification을 위한 Src data-free DA방법은 이미 제안되었음(Li et al. 2020; Kim, hong, and Cho 2020)
Detection분야에 대한 적용은 여전히 공백인 상황.




∙ Learning with Noisy Labels


noisy label학습을 위해 많은 방법들이 classification에서 이루어져 왔었다.
∙ 초기: instance-독립의 Noise model 사용: 각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와 혼동되는 문제 발생
∙ 최근: Label noise 예측에 초점

하지만 위 연구들의 noisy label 설정방식은 이상적:
noisy label과 true label을 수동 설정.

추가적으로 noisy label학습을 위해 여러 방식들이 제시됨:
object경계지정이 명확하지 않은경우, 문제해결이 불가능

 

 

 

 

 


Source free Domain Adaptive Object Detection


[UDA-OD가정]
Src와 Tgt이 training과정에서 자유롭게 사용되어 Src-Tgt, 두 Domain간의 차이(discrepancy)를 최소화 하는것.


[Src data-free UDA의 목표]
신경망 최적화를 위해 Dt만 사용하는 것
이때, 유일한 supervision 신호 Ds data를 직접사용하는 대신,
Ds에서 pre-trained model θs에서 제공된다.


∙ Pseudo Lables Optimization via SED

🤔 A toy example: How to evaluate the quality of pseudo labels?

Toy example이란?
MNIST를 2개의 범주(positive, negative)로 구분; 이를 MNIST-2라 지칭함.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Dataset을 구축.
ex) positive sample을 negative에 서로다른비율로 섞거나
negative sample을 positive에 서로다른비율로 섞어 이를 LeNet에 훈련.
즉, 혼합 비율 = 노이즈 정도.

훈련 후 전체 데이터셋의 예측 불확실성을 잡기 위해 'mean self-entropy'개념을 도입:

nc : class 수
pc(xti): class c의 예측확률



위 그림에서 보이듯, noise정도는 mean self-entropy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짐은 자명하다.

∙ 위 그림) 더 noisy label → label 맞추기가 어려움 = mean self-entropy⇧
 이상적 상황) 가장 깨끗한 라벨 할당 → 가장 낮은 mean self-entropy

즉, 두 상황을 고려해보면?
❗️mean self-entropy가 감소→ local-minima에 도달 = reliable한 label할당.


🤔 SED: how to generate reliable pseudo labels in Object Detection

Detection에서 Negative samples는 진~~짜 많다.(진짜 강조 많이한 말.)
앞단의 설명처럼, training을 위해 P/N sample분리가 필요
 이는 저점~고점까지 적절한 confidence threshold를 찾아야함을 의미.

[SED: Self Entropy Descent]

❗️mean self-entropy가 감소해 첫 local-minimum에 도달할 때, 훈련을 멈춘다.
( 가장 낮은 entropy값=가장 깨끗한 = 신뢰할만한 라벨할당 가능.)

Dt  Ds에서 pre-train된 model θs는 자유롭게 활용가능하므로 
pseudo label y(xt)와 그에 해당하는 신뢰도 p(xt)는 아래와 같이 유도된다.

즉, pretrained model parameter와 confidence threshold를 기반으로 하는 Faster R-CNN을 이용해 input x에 대해 pseudo label y와 신뢰도값 p를 출력으로 함을 의미.

h: pseudo label생성을 위한 confidence threshold
F: Faster R-CNN Detector: 
Faster R-CNN:
  - Anchor기반의 효시
  - Detector가 feature extractor로써의 encoder를 갖고있음.
  - encoder에는 RPN, RoI classifier를 갖고있음.


confidence p(xt): classification분기에서 softmax output.
pseudo label y(xt): foreground클래스 확률의 argmax값.

if p(x_t) > h:    
    box = y(x_t)  # 일치하는 박스에 클래스라벨 max_score 할당
else:
    box = background

 

 


📌 Loss function: pseudo label을 사용해 tgt data train

각각 region proposal loss, region classification loss, Bbox regression loss를 의미.


Region Proposal Bbox Regression: 
Src domain에서 pretrained model training으로 예측된 Bbox를 ground_truth로 바로 사용가능.
Detection오류는 Classification오류보다 훨씬 약하다 (Borji and Iranmanesh 2019).


이 Fine-Tuning작업 이후, pre-trained과 confidence threshold로 생성된 pseudo label들은
update된 모델 θt
를 사용해 Tgt Dataset의 평균 self-entropy, H(Dt)로 평가한다.

SED전략: 저점~고점까지 탐색, Self-Entropy가 첫 극솟값만나면 멈춤

 


∙ False Negative Simulation

적절한 confidence threshold값을 SED를 통해서 찾았지만, 여전히 문제점 존재: pseudo labels는 여전히 noisy
Detection에서의 noisy label: FP, FN

여러 공개된 데이터셋에서 각 confidence구간에서 TP와 FP를 계산.
아래 그림처럼 FP는 비교적 작은 비율만을 차지합니다.

놀랍게도, 저자가 신뢰 임계값을 거의 0에 가깝게 설정해도 반이상의 positive sample은 box하기를 어려워한다.
결과적으로 training 중 positive sample이 FN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렇기에 본 논문에서는 Label Denoising을 위한 FN mining에 초점을 맞춘다.
아래 시각화된 자료에서 알 수 있듯, 대부분의 FN은 작고 가려진 객체로
TN과 섞여서 positive로 다시 mining하기가 어렵다.
 Domain discrepancy가 심화되는 이유.


Solution) TP를 이용한 FN Simulation: Data Augmentation
detect된 positive를 어렵게 만듬 → detect하기 힘든 작고 가려지는 객체를 모방, 이를 simulate함.
추가적으로 FN의 악영향을 억제

이를 위해 저자는 Mosaic Augmentation(YOLOv4)을 FN Simulation에 선택.
TP를 활용해 작거나 가려진 객체생성 시, TN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

CutMix(2019)를 개선한 방식, 4개의 train_img를 혼합, 일반상식내의 객체도 감지가능.


[Mosaic의 Main 2-step]
Step 1: Random Scaling
  - Tgt Domain에서 detect된 단순객체를 사용→다양한 크기의 어려운 객체 모방

Step 2: Random Cutting
  - 일부 구조만 보이는 객체를 어느수준까지 모방가능


Mosaic data: {(x ̃, y ̃)}는 아래 식에 따라
Tgt domain data {(xA,yA),(xB,yB),(xC,yC),(xD,yD)}로 구성될 수 있다:

train_img: H×W.
(u, v): 2차원 이동.
{MA,MB,MC,MD} ∈ {0,1}s(Ws(H): binary mask그룹
s(·)와 λ: Random Scaling & Cutting 인자.

일부 Mosaic img. 더 효과적인 거짓 음성 마이닝 또는 거짓 음성 시뮬레이션 방법이 더 많은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저자는 생각.



FN Simulation이 SED와 함께 pseudo labeling생성을 위한 적절한 신뢰 임계값을 찾는과정을 위의 SFOD의 전체 파이프라인에서 볼 수 있다.


🧐 개인 생각 정리:

핵심:
∙ How to evaluate the quality of pseudo labels?

noisy label = label맞추기 어려움 = mean self-entropy⇧
→ 깨끗한(= 신뢰할만한) 라벨을 얻으려면 entropy값이 낮아야함.
 즉, mean self entropy-noise degree그래프상에서 극솟값에 도달하면 라벨할당!


∙ How to generatethe quality of pseudo labels?
training을 위해 P/N sample분리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적절한 threshold값이 필요.

pretrained model parameter와 confidence threshold를 기반으로 하는 Faster R-CNN을 이용해 input x에 대해 pseudo label y와 신뢰도값 p를 출력으로 함을 의미.
if p(x_t) > h:    
    box = y(x_t)  # 일치하는 박스에 클래스라벨 max_score 할당
else:
    box = background

 

pre-trained과 confidence threshold로 생성된 pseudo label들은
update된 모델 θt
를 사용해 Tgt Dataset의 평균 self-entropy, H(Dt)로 평가


∙ False Negatives Simulation
신뢰 임계값을 거의 0에 가깝게 설정해도 반이상의 positive sample은 box하기를 어려워한다. (작거나 가려지는 물체때문!)
결과적으로 training 중 positive sample이 FN으로 작용하게 된다!
  Label Denoising을 위한 FN mining에 초점

FN Mining은 FN Simulation으로 이루어지며, FN Simulation에 Mosaic방식을 선택
FN Simulation이 SED와 함께 pseudo labeling생성을 위한 적절한 신뢰 임계값을 찾는다.


요약: 아무래도 과정이 제법 복잡하여 한번 요약을 해야할 것 같았다.

1. 기존과 달리 Src data-free를 위해서는 Labeled Src Data로 Faster R-CNN을 pre-trained시킴.

2. Src의 data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Src로 pre-train된 model에서 유일한 supervision signal을 학습 시 제공
(for. 신경망 최적화를 위해 Tgt Domain만 사용.)

3. FN Simulation과 SED를 같이 사용해 pseudo labeling 생성을 위한 적절한 confidence threshold, h를 찾는다.
(SED: training을 위해 P/N분리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신뢰할만한 pseudo label이 생성되어야하고,
이를 위해 신뢰할만한confidence threshold가 필요 = 낮은 entropy,
따라서 mean self-entropy를 이용, 저점~고점을 탐색하다
Self-Entropy가 첫 극솟값을 만나면 멈춘다. 이 전략을 SED라 부른다.
즉, confidence threshold로 생성된 pseudo label들을 update된 pretrained모델로
Tgt Dataset의 mean self-entropy를 평가한다: hopt = argmin H(Dt)이다.)


(FN Simulation: SED로 찾은 pseudo label은 여전히 noisy(FP, FN)label인데, 특히나 positive가 작거나 가려지는 물체로 인해 FN으로 작용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4. h와 pre-trained model parameter를 이용해 Faster R-CNN은 아래 두 값을 출력한다.
cf) pseudo label y(x)= foreground클래스확률의 argmax값
cf) confidence p(x)= classification분기에서의 softmax값

 

 

 


Experiments

∙ Experimental Setup

   ‣ Datasets

5개의 open dataset이 사용됨:


   ‣ Implementation Details

공정한 비교를 위해 [Xu 2020]과 동일한 실험적 setting.
 [img pixel]: train-test모두 600 pixel로 resize
 [batch_size]: 1
 [Model]:
       - (pre-trained): VGG16 with ImageNet & Src. Domain data 여기서만 사용.
       - (backbone): Faster R-CNN

         - (Detector): SGD(lr=0.001)


∙ Comaparison Results

그림 7.mean self-entropy와 해당하는 AP, mAP의 곡선은 4가지 Adaptation task에서 confidence threshold에 따라 변하는데, SED를 통해 최적의 mAP값에 근접할 수 있다.

[그림 7]:
저자의 실험은 4가지 Adaptation task에 대해 진행된다.
위 그림은 다양한 confidence threshold값 하에
Detection precision과 mean self-entropy의 곡선을 보여준다.

 "Source only"와 "Oracle"은 각각 Labeled Src, Tgt Domain trainset으로 훈련되었지만,
Target Domain validation set에서 test되었다.


    ‣ Adaptation to A New Sense

Real World는 다양한 현상이 존재: 각도, 해상도, 품질 및 유형 등
→ Domain Shift 유발가능; 본실험에서는 두 real dataset 간의 새로운 Detection task Adaptation을 고려.
  ∙ [Src Domain]: KITTI
  ∙ [Tgt Domain]: Cityscapes 

[Model 비교군]:
SFOD(본논문), DA-Faster, SW-Faster, Noise Labeling ,
DA-Detection, AT-Faster

[표 1]: 유일한 공통 객체: 자동차 카테고리, 이에 대한 AP를 비교진행.
only SED:  labeled Tgt validation set에서 찾은 이상적인 confidence threshold값이 없음에도 AP가 매우 이상적인 값에 근접.
자동차 Detection Acc측면에서도 많은 기존방법보다 좋음.
SED+Mosaic: AP: 43.6% →44.6% (DA-Detection을 0.7%만큼 넘어섬)
FN Simulation이 FN noise label에 의한 악영향 완화.


   ‣ Adaptation from Synthetic to Real Images

자율 주행을 위한 annotating train data부족으로 synthetic dataset을 사용.
  ∙[Src Domain]: Sim10k
  ∙[Tgt Domain]: Cityscapes 

여기선 Sim10k와 Cityscapes 양쪽에서 유일한 객체 카테고리인 주석이 달린 자동차의 성능만을 평가.

[표 2]:  DA-Faster, Noise Labeling, AT-Faster과 비교,
SFOD방법이 우수, 기존을 능가.
(다만, 저자방식은 기존의 Src based보다 어려운 도전이 될 것.)


   ‣ Adaptation to Large-Scale Dataset

∙[smaller Src Domain]: Cityscapes 
∙[large unlabeled Tgt Domain]:  BDD100k

Cityscapes: only daytime
BDD100k: 3개의 시간대의 labeled daytime data를 tgt domain으로 함.

두 데이터셋에서 7개 카테고리에 대한 detection결과의 mAP를 평가

[표 3]: 
Baseline과 Oracle에서 보이듯, Src과 Tgt간의 Domain divergence해결은 매우 복잡.

특히 더 많은 Src Data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DA-Faste, SW-Faster, CR-DA-DET 같은
소수의 접근 방식만이 이 적응 작업에 도전한다는 점에서 더욱 어렵다.

Domain Gap이 넓음에도 도메인 갭의 이렇게 넓은 범위에도 불구하고, 그림 7(그래프 그림)에서 볼 수 있듯,
SOTA들이 다양한 confidence threshold에서 개선되는데, 특히
 SED 또는 SED+Mosaic을 사용할 때 CR-DA-DET의 26.9%에서 mAP를 27.6% 및 29.0%로 개선할 수 있다.


   ‣ Adaptation from Normal to Foggy Weather

Real-World적용에서 Detector는 다양한 날씨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일일히 날씨조건에 맞는 많은 양의 data를 수집하고 label로 지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Src Domain]: Cityscapes
  ∙[Tgt Domain]: Foggy Cityscapes

[표 4]:
SFOD와 다른 UDA-OD방법들(DA-Faster, SW-Faster, DA-Detection, CR-DA-DET, AT-Faster) 간의 비교
기준인(Src only) 22.3%의 mAP에 비해, label noise로 훈련된 SED+Mosaic는 pseudo label이더라도 33.5%로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DA-Detection과 같은 Defogging방법을 사용으로 Tgt Domain img품질개선 후,
여기서 SFOD성능열 연구했는데,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 안개 제거 후에 SFOD 약 3%정도 성능향상이 이뤄졌다..
즉, 안개가 가짜 라벨의 라벨 노이즈를 악화시켜 감지 성능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Cityscapes dataset에서 Foggy Cityscapes로의 Adaptation결과

   ‣ Discussion and Annalysis

SFOD에서는 Src Domain의 pre-trained model로 얻은 Tgt Domain pseudo label로
training과정 중 noisy label로 인해 방해받을 수 있는데, 아래 그림을 보자.

SED를 직접 사용해 pseudo label 생성을 위한 confidence threshold를 찾거나
추가적으로 FN-Simulation에 결합 시, noisy label로 인한 악효과억제로 더 많은 객체탐지가 가능하다.


🧐 개인 생각 정리:

핵심:
5개의 Dataset이 활용됨:
KITTI, Sim10k, Cityscapes, BDD100k, Foggy Cityscapes

        [Src → Tgt]
 ①       KITTI     → Cityscapes : for 새로운 Domain 
 ②     Sim10k   → Cityscapes: for train data부족상황 가정.
 ③ Cityscapes→ BDD10k: for data양의 차이(매우적음 to 매우많음)
 ④ Cityscapes→ FoggyCityscapes: for noisy Tgt Domain


Conclusion

UDA-OD를 위한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인 SFOD를 제안.
이는 Src Data를 직접사용하는 대신,
Src Domain에서 사전훈련된 모델만을 활용,
Supervision signal을 제공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noise가 있는 Label로 학습하는 관점에서 해결가능하다 보는데, 많은 Src data기반방법을 넘기도 하지만
Noise Label(FP,FN)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에 대해 Unsupervised 방식이 매우 어렵다는점을 인정해야한다.

📌 목차

1. Linear Regression
2. Decision Theory

3. Bias-Variance Trade-off

 

🧐  preview: Linear Regression

Linear Regression의 기본개념 중 일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전 장에서 다항식곡선 fitting맥락에서 간단히 다뤘었다.

Linear Regression모델은 학습가능한 parameter를 갖는 Single Layer 신경망으로
비록 단일 레이어 신경망이 실제 응용에서는 매우 제한적일지라도,
이들은 간단한 분석적 특성을 갖기에 후속 장에서 심층신경망에 대한 논의를 위해 핵심 개념을 알아보자.

 

 

 

 

 

 


1. Linear Regression

prev.

회귀의 목표는 D-차원 벡터 x의 값이 주어졌을 때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목표 변수 t의 값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N개의 관측치 {xn}, 여기서 n = 1, . . . , N 및 해당하는 목표 값 {tn}으로 이루어진 교육 데이터 세트가 주어지며, 목표는 x의 새로운 값에 대한 t의 값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훈련 데이터에서 학습할 수 있는 매개변수 벡터 w를 나타내는 함수 y(x, w)를 정의합니다. 회귀에 대한 가장 간단한 모델은 입력 변수들의 선형 조합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y(x, w) = w0 + w1x1 + ... + wDxD (4.1), 여기서 x = (x1, . . . , x1)T입니다.

때로는 이 형태의 모델을 특별히 선형 회귀라고 합니다. 이 모델의 주요 특성은 w0, ..., wD 매개변수의 선형 함수임입니다. 그러나 이는 또한 입력 변수 xi의 선형 함수이기도 하며, 이는 모델에 중요한 제한을 부여합니다.

 

1.1  Bias Functions

우리는 (4.1)로 정의된 모델 클래스를 확장함으로써 입력 변수의 고정 비선형 함수의 선형 결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것입니다. (4.2) 여기서 φj (x)는 기저 함수라고 불립니다. 지수 j의 최대값을 M - 1로 표시하면이 모델의 총 매개 변수 수는 M이 될 것입니다. 매개 변수 w0는 데이터에서 임의의 고정 오프셋을 허용하며 때로는 편향 매개 변수라고도 합니다 (통계적 의미의 편향과 혼동해서는 안 됨). 종종 편의상 값이 φ0(x) = 1인 추가적인 더미 기저 함수를 정의하여 (4.2)가 (4.3)이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w = (w0, ..., wM-1)T 및 φ = (φ0, ..., φM-1)T입니다. 우리는 모델 (4.3)을 Figure 4.1에 나타낸 것처럼 신경망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비선형 기저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함수 y(x, w)가 입력 벡터 x의 비선형 함수가 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그러나 (4.2) 형태의 함수는 w에 대해 선형이라고 불립니다. 이 매개 변수의 선형성은 이러한 모델 클래스의 분석을 크게 단순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몇 가지 중요한 제한도 야기합니다. 딥 러닝의 출현 이전에 머신 러닝에서는 입력 변수 x의 고정된 전처리 또는 특성 추출이라고도 하는 {φj (x)} 기저 함수 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목표는 결과 학습 작업을 간단한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충분히 강력한 기저 함수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었습니다. 불행히도 간단한 응용 프로그램 이외의 것에는 적합한 기저 함수를 수동으로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웠습니다. 딥 러닝은 데이터 집합 자체에서 데이터의 필요한 비선형 변환을 학습함으로써 이 문제를 피합니다. 우리는 이미 다항식을 사용한 곡선 피팅을 통해 회귀 문제의 예를 만났습니다. 다항식 함수 (1.1)은 x가 단일 입력 변수이고 기저 함수가 φj (x) = xj로 정의되는 경우 (4.3)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기저 함수의 여러 가능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4.4) 여기서 μj는 입력 공간에서 기저 함수의 위치를 지배하고 매개 변수 s는 공간적 규모를 지배합니다. 이러한 것들은 일반적으로 '가우시안' 기저 함수라고 불리지만 확률적 해석을 갖추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정규화 계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기저 함수는 학습 가능한 매개 변수 wj에 의해 곱해지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가능한 기저 함수 선택은 (4.5)와 같은 시그모이드 기저 함수입니다. 여기서 σ(a)는 (4.6)으로 정의된 로지스틱 시그모이드 함수입니다. 동등하게 로지스틱 시그모이드와 관련이 있는 탄젠트 기저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tanh(a) = 2σ(2a) - 1이기 때문에 로지스틱 시그모이드 함수의 일반적인 선형 조합은 입력-출력 함수의 동일한 클래스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Figure 4.2에서 이러한 기저 함수의 다양한 선택지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가능한 기저 함수 선택은 삼각 함수의 확장인 푸리에 기저입니다. 각 기저 함수는 특정 주파수를 나타내며 무한한 공간 범위를 가집니다. 반면에 입력 공간의 유한한 영역에 국한된 기저 함수는 다양한 공간 주파수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신호 처리 응용에서는 공간과 주파수 모두에 국한된 기저 함수를 고려하는 것이 흔히 있으며 이는 웨이블릿 (Wavelets)이라는 함수 클래스로 이어집니다(Ogden, 1997; Mallat, 1999; Vidakovic, 1999). 이들은 또한 단순화를 위해 상호 직교로 정의됩니다. 웨이블릿은 입력 값이 시간 순서의 연속적인 시간 점이거나 이미지의 픽셀과 같은 정규 격자 위에 있는 경우에 가장 적합합니다. 그러나 이 장의 대부분의 토론은 기저 함수 세트의 선택과 관련이 없으며, 특별한 기저 함수 형태를 지정하지 않겠습니다. 수치적 설명을 위한 것을 제외하고 표기법을 간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단일 대상 변수 t의 경우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그러나 간단히 여러 대상 변수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수정 사항을 간략히 소개할 것입니다.

1.2  Likelihood Function

우리는 데이터에 다항 함수를 맞추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곱합 오차 함수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접근했으며, 또한 이 오차 함수를 가우시안 노이즈 모델을 가정한 최대 우도 해법으로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이제 이 토론으로 돌아가 최소 제곱 방법과 최대 우도와의 관계를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대상 변수 t가 결정론적 함수 y(x, w)에 가우시안 노이즈가 첨가된 형태로 주어진다고 가정합니다. (4.7)이고, 여기서 ε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σ2인 가우시안 랜덤 변수입니다. 따라서 (4.8)로 쓸 수 있습니다. 이제 입력값 X = {x1, ..., x1}과 해당하는 대상 값 t1 ..., t1의 데이터 세트를 고려해 봅시다. 대상 변수 {tn}을 t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서체를 사용하여 단일 다변량 대상의 단일 관측값과 구별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포인트가 (4.8) 분포에서 독립적으로 추출된다는 가정을 하면 매개변수 w와 σ2에 대한 우도 함수의 표현을 얻을 수 있습니다. (4.9)이며, 여기서 (4.3)을 사용했습니다. 우도 함수에 대한 자연로그를 취하고, 단일 변수 가우시안에 대한 표준 형식(2.49)을 사용하면 (4.10)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제곱합 오차 함수는 (4.11)에 의해 정의됩니다. (4.10)의 첫 두 항은 w를 결정할 때 상수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서 본 것처럼 가우시안 노이즈 분포 하에서 우도 함수를 최대화하는 것은 제곱합 오차 함수 (4.11)를 최소화하는 것과 동등합니다.

1.3  Maximum Likelihood

우리가 우도 함수를 작성한 후, 최대 우도를 사용하여 w와 σ2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먼저 w에 대한 최대화를 고려해 봅시다. 로그 우도 함수 (4.10)의 w에 대한 기울기는 (4.12) 형태를 가집니다. 이 기울기를 제로로 설정하면 (4.13)이 됩니다. w에 대해 풀어주면 (4.14)가 되는데, 이는 최소 제곱 문제에 대한 정규 방정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 Φ는 N×M 행렬로, 디자인 행렬이라고 불리며 그 원소는 Φnj = φj(xn)로 주어지므로 (4.15)입니다. 양이 (4.16)은 Moore-Penrose 유사 역행렬(Moore–Penrose pseudo-inverse)로 알려져 있습니다 (Rao and Mitra, 1971; Golub and Van Loan, 1996).

이는 정사각형이 아닌 행렬에 대한 행렬 역행렬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Φ가 정사각형이고 가역적이면 성질 (AB)−1 = B−1A−1을 사용하여 Φ† ≡ Φ−1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편향 매개 변수 w0의 역할에 대한 어떤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편향 매개 변수를 명시적으로 만들면 오차 함수 (4.11)는 (4.17)이 됩니다. w0에 대한 도함수를 0으로 설정하고 w0에 대해 풀면 (4.18)이 되며 여기서 (4.19)를 정의했습니다. 따라서 편향 w0은 대상 값의 평균과 기저 함수 값의 가중 평균 간의 차이를 보상합니다. 우리는 또한 분산 σ2에 대한 로그 우도 함수 (4.10)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이는 (4.20)을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분산 매개 변수의 최대 우도 값은 회귀 함수 주변의 대상 값의 잔차 분산에 의해 주어집니다.

 

1.4  Geometry of Least Squares

이 시점에서 최소 제곱 해법의 기하학적 해석을 고려하는 것이 유익합니다. 이를 위해 tn으로 주어진 N 차원 공간을 고려하면 t = (t1, ..., tN)T는 이 공간의 벡터입니다. 각 기저 함수 φj(xn), N 데이터 포인트에서 계산된 것,은 또한 동일한 공간에 벡터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φj로 표시합니다. Figure 4.3에서 설명된 것처럼 φj는 Φ의 j번째 열에 해당하며, φ(xn)은 Φ의 nth 행의 전치에 해당합니다. 기저 함수의 수 M이 데이터 포인트 수 N보다 작은 경우, M 개의 벡터 φj(xn)는 차원이 M인 선형 부분 공간 S를 구성합니다. y를 n = 1, ..., N일 때 y(xn, w)로 주어진 N 차원 벡터로 정의합니다. y는 벡터 φj의 임의의 선형 조합이므로 M 차원 부분 공간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습니다. 제곱합 오차 (4.11)는 따라서 y와 t 사이의 제곱 유클리드 거리에 해당합니다(1/2의 배수를 제외하고). 따라서 w에 대한 최소 제곱 해법은 subspace S 내에 위치하고 t에 가장 가까운 y의 선택에 해당합니다. 직관적으로 Figure 4.3에서 이 해법이 t를 subspace S로의 수직 투영에 해당함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로 ΦwML로 y에 대한 해법이 주어지고 이것이 수직 투영의 형태를 취함을 확인함으로써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정규 방정식의 직접적인 해법은 ΦTΦ가 특이에 가까울 때 수치적인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기저 벡터 φj가 공선성을 띄거나 거의 공선성을 띌 때 결과적인 매개변수 값은 큰 크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실제 데이터 세트를 다룰 때 이러한 근접한 퇴화는 흔하지 않지 않습니다. 결과적인 수치적인 어려움은 특이 값 분해 또는 SVD (Deisenroth, Faisal, and Ong, 2020) 기술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정규화 항을 추가하면 행렬이 퇴화가 있더라도 특이하지 않음이 보장됩니다.

 

1.5  Sequential Learning

최대 우도 해법(4.14)은 전체 훈련 세트를 한 번에 처리하는 일괄 처리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대해 계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데이터 세트가 충분히 크다면, 데이터 포인트가 하나씩 고려되고 각 제시 후에 모델 매개변수가 업데이트되는 순차 알고리즘인 순차 알고리즘, 또는 온라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가치 있을 수 있습니다. 순차 학습은 데이터 관측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모든 데이터 포인트가 볼 때까지 예측이 이루어져야 하는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에도 적합합니다. 확률적 경사 하강법, 또는 순차 경사 하강법이라고도 알려진 기술을 적용하여 순차 학습 알고리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차 함수가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합인 경우 E = ∑nEn, 데이터 포인트 n이 제시된 후 확률적 경사 하강법 알고리즘은 (4.21)을 사용하여 매개변수 벡터 w를 업데이트합니다. 여기서 τ는 반복 횟수를 나타내며, η는 적절히 선택된 학습 속도 매개변수입니다. w의 값은 어떤 시작 벡터 w(0)로 초기화됩니다. 제곱 오차 함수 (4.11)의 경우 이는 (4.22)를 주어지며, 여기서 φn = φ(xn)입니다. 이는 최소 평균 제곱 또는 LMS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6  Regularized Least Squares

과적합을 제어하기 위해 오차 함수에 정규화 항을 추가하는 개념을 이전에 소개했습니다. 이로 인해 최소화해야 하는 총 오차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4.23), 여기서 λ는 정규화 계수로 데이터 종속적 오차 ED(w)와 정규화 항 EW(w)의 상대적 중요성을 제어합니다. 정규화 항의 가장 간단한 형태 중 하나는 가중치 벡터 요소들의 제곱의 합으로 주어집니다 (4.24). 만약 우리가 또한 (4.25)에 주어진 제곱 합 오차 함수를 고려한다면, 전체 오차 함수는 다음과 같아집니다 (4.26). 통계에서 이 정규화 항은 매개변수 값을 제로로 수축시키기 때문에 매개변수 수축 방법의 한 예를 제공합니다. 그것은 오차 함수가 여전히 w의 이차 함수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그 정확한 최소화 값은 닫힌 형식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4.26)의 w에 대한 기울기를 제로로 설정하고 이전과 같이 w에 대해 해결하면 (4.27)을 얻습니다. 이는 최소제곱 솔루션 (4.14)의 간단한 확장을 나타냅니다.

 

1.7  Multiple Outputs

지금까지 단일 대상 변수 t가 있는 상황을 고려했습니다. 어떤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K > 1 대상 변수를 예측하고 싶을 수 있으며, 이들은 대상 벡터 t = (t1 , . . . , tk )T로 통칭합니다. 각 t 구성 요소에 대해 다른 기저 함수 집합을 도입하여 여러 독립적인 회귀 문제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더 일반적인 접근 방식은 대상 벡터의 모든 구성 요소를 모델링하는 데 동일한 기저 함수 집합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4.28), 여기서 y는 K 차원 열 벡터이고, W는 매개변수의 M × K 행렬이며, φ(x)는 이전과 같이 요소가 φj(x)인 M 차원 열 벡터입니다. 이는 다시 한 계층의 매개변수를 가진 신경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Figure 4.4에 표시된 것처럼입니다. 대상 벡터의 조건부 분포를 형식 (4.29)의 등방성 가우시안으로 취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t1, . . . , t1의 관측치 세트가 있다면 이를 tTn이 주어지는 행렬 T로 결합할 수 있으며, 크기가 N × K인 행렬 X로 x1, ..., xN의 입력 벡터를 결합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로그우도 함수는 (4.30)으로 주어집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W에 대해 이 함수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이는 (4.31)을 제공합니다. 여기서 입력 특징 벡터 φ(x1 ), . . . , φ(xN )을 행렬 Φ로 결합했습니다. 각 대상 변수 tk에 대해 이 결과를 조사하면 (4.32)가 나오며, 여기서 tk는 n = 1, . . . N의 구성 요소 tnk를 갖는 N 차원 열 벡터입니다. 따라서 회귀 문제의 해결은 서로 다른 대상 변수 간에 분리되며 모든 벡터 wk에 공유되는 단일 의사 역행렬 행렬 Φ†만 계산하면 됩니다. 임의의 공분산 행렬을 갖는 일반적인 가우시안 노이즈 분포로의 확장은 간단합니다. 다시 한 번 K 개의 독립적인 회귀 문제로 분리됩니다. 이 결과는 W 매개변수가 가우시안 노이즈 분포의 평균만을 정의하고 있으며, 다변량 가우시안의 평균에 대한 최대 우도 솔루션이 공분산과 독립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예상 가능합니다. 이제부터는 편의상 단일 대상 변수 t만을 고려할 것입니다.

 

 

 

 

 

 

 

 

 

 

 

 


2. Decision Theory

prev.

우리는 회귀 작업을 조건부 확률 분포 p(t|x)를 모델링하는 것으로 정의했으며, 조건부 확률의 특정 형태로는 매개변수 w에 의해 조절되는 x-의존적 평균 y(x, w)과 매개변수 σ2에 의한 분산을 가지는 가우시안(4.8)을 선택했습니다. w와 σ2는 최대우도를 사용하여 데이터에서 학습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4.33)으로 표현되는 예측 분포가 됩니다. 예측 분포는 새로운 입력 x에 대한 t의 값에 대한 불확실성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많은 실용적인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전체 분포를 반환하는 대신 특정 값을 예측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특정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의 최적 레벨을 결정하려면 모델이 방사선 용량에 대한 확률 분포를 예측하고, 그 분포를 사용하여 특정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 우리의 작업은 첫 번째 단계에서는 추론 단계로 나뉩니다. 추론 단계에서는 훈련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 분포 p(t|x)를 결정합니다. 두 번째 단계는 의사 결정 단계로, 이 예측 분포를 사용하여 일정 기준에 따라 최적의 특정 값을 f(x)로 결정합니다. 이를 위해 예측 분포 p(t|x)와 f에 의존하는 손실 함수를 최소화합니다. 직관적으로 우리는 조건부 분포의 평균을 선택할 것입니다. 따라서 f(x) = y(x,w_ML)을 사용할 것입니다. 이 직관이 어떤 경우에는 맞을 수 있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매우 나쁜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언제 적용되며 어떤 가정 하에서 적용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이를 공식화하는 것이 유용하며, 이를 수행하는 프레임워크를 의사 결정 이론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예측에 대한 최적값 f(x)를 선택할 때 실제 값이 t일 때 일종의 패널티 또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는 손실로 나타내며 L(t, f(x))로 표기합니다. 물론 우리는 t의 실제 값을 모르기 때문에 L 자체를 최소화하는 대신 (4.34)에서 주어진 것처럼 입력과 대상 변수의 결합 분포 p(x, t)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 또는 기대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회귀 문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손실 함수의 선택은 L(t, f(x)) = {f(x) - t}2로 주어집니다. 이 경우 기대 손실은 (4.35)로 표현됩니다. E[L]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의 목표는 f(x)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완전히 유연한 함수 f(x)를 가정한다면, 우리는 미분 가변의 계산을 사용하여 이를 형식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4.36)으로 주어진 결과를 얻습니다. f(x)에 대해 풀어나가고 확률의 합과 곱 규칙을 사용하여 (4.37)을 얻습니다. 이는 x에 대한 조건부 평균이며 회귀 함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결과는 Figure 4.5에서 설명된 것과 같습니다. 이는 다변수 대상 변수를 나타내는 벡터 t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적 해는 조건부 평균 f⋆(x) = E[t|x]입니다. 가우시안 조건부 분포의 경우 (4.8) 형태로, 조건부 평균은 단순히 (4.38)입니다. (4.37)를 유도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회귀 문제의 본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최적 해가 조건부 기대값인 지식을 바탕으로 제곱 항을 다음과 같이 확장할 수 있습니다. {f(x) - t}2 = {f(x) - E[t|x] + E[t|x] - t}2 = {f(x) - E[t|x]}2 + 2{f(x) - E[t|x]}{E[t|x] - t} + {E[t|x] - t}2 표기를 단순하게 유지하기 위해 E[t|x]를 Et[t|x]로 사용합니다. 손실 함수 (4.35)에 대입하고 t에 대한 적분을 수행하면 교차 항이 없어지고 손실 함수를 (4.39) 형태로 얻습니다. 우리가 결정하려는 함수 f(x)는 첫 번째 항 에만 나타나며, 이 항은 f(x)가 E[t|x]와 같을 때 최소화됩니다. 이 경우 이 항은 없어집니다. 이는 우리가 이전에 유도한 결과일 뿐이며, 최적의 최소제곱 예측자는 조건부 평균으로 주어집니다. 두 번째 항은 x에 대해 평균화된 t의 분포의 분산이며 대상 데이터의 내재적 변동성을 나타내며 손실 함수의 기본 최솟값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제곱 손실은 회귀를 위한 손실 함수의 유일한 선택이 아닙니다. 여기서 우리는 제곱 손실의 간단한 일반화 중 하나인 민코프스키 손실을 간단히 검토합니다. 그 기대값은 (4.40)으로 주어지며 q = 2의 경우 예상된 제곱 손실로 감소합니다. 여러 q 값에 대한 f - t에 대해 |f - t|q 함수는 Figure 4.6에서 플로팅됩니다. E[Lq]의 최솟값은 q = 2의 경우 조건부 평균, q = 1의 경우 조건부 중앙값 및 q → 0의 경우 조건부 모드입니다. 가우시안 노이즈 가정은 x가 주어졌을 때 t의 조건부 분포가 단일 모양임을 의미하며, 이는 일부 응용 프로그램에는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제곱 손실은 매우 나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더 정교한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가우시안의 혼합을 사용하여 다중 모드 조건부 분포를 만들어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역 문제의 해결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회귀 문제에 대한 의사 결정 이론에 중점을 두었으며, 다음 장에서는 분류 작업에 대한 유사한 개념을 개발할 것입니다.

 

 

 

 

 

 

 

 

 

 

 

 

 


3.  Bias-Variance Trade-off

prev.

지금까지 회귀에 대한 선형 모델에 대한 논의에서 우리는 기저 함수의 형태와 개수가 모두 주어진 것으로 가정했습니다. 또한 최대우도를 사용하면 데이터 세트 크기가 제한된 경우 복잡한 모델을 훈련시킬 때 심각한 과적합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과적합을 피하기 위해 기저 함수의 개수를 제한하면 모델이 데이터의 흥미로운 경향을 캡처하는 유연성이 제한되는 부작용이 발생합니다. 많은 매개변수를 가진 모델에 대한 과적합을 제어하는 정규화 항이 있더라도 정규화 계수 λ에 적절한 값을 어떻게 결정할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가중치 벡터 w 및 정규화 계수 λ에 대한 정규화된 오류 함수를 최소화하는 해를 찾는 것은 분명히 옳지 않은 접근 방식입니다. 왜냐하면 이는 λ = 0의 정규화되지 않은 해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모델 복잡성 문제에 대한 빈도주의적 관점인 편향-분산 균형을 고려하는 것이 유익합니다. 우리는 이 개념을 선형 기저 함수 모델의 맥락에서 소개할 것이며, 여기서 간단한 예제를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설명하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이 논의는 매우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오버피팅은 실제로 최대우도의 불행한 속성이며 베이지안 환경에서 매개변수에 대한 주변화를 수행할 때는 발생하지 않습니다(Bishop, 2006).

우리가 회귀 문제에 대한 의사 결정 이론을 논의할 때 우리는 다양한 손실 함수를 고려했고, 각각은 조건부 분포 p(t|x)가 주어진 경우에 대응하는 최적의 예측을 제공합니다. 인기 있는 선택은 제곱 손실 함수이며, 이 경우 최적의 예측은 조건부 기대치로 주어지며, 이를 h(x)로 표시하고 (4.41)로 주어집니다. 또한 기대되는 제곱 손실은 (4.42) 형태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항은 f(x)에 독립적인 인트린직 데이터 노이즈에서 발생하며 예상 손실의 최솟값입니다. 첫 번째 항은 함수 f(x)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며 이 항을 최소화하는 f(x)의 해를 찾을 것입니다. 이 항이 음이 아니기 때문에 이 항의 가장 작은 값은 0입니다. 우리가 무한한 데이터 공급이 있다면 (그리고 무한한 계산 자원이 있다면) 원하는 정도의 정확도로 회귀 함수 h(x)를 원칙적으로 찾을 수 있으며, 이것이 f(x)에 대한 최적의 선택일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유한한 수의 데이터 포인트 N만 포함된 데이터 세트 D가 있고, 따라서 우리는 회귀 함수 h(x)를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만약 매개 변수 벡터 w에 의해 지배되는 함수로 h(x)를 모델링한다면 베이지안 관점에서는 모델의 불확실성이 w에 대한 사후 분포를 통해 표현됩니다. 그러나 빈도주의적 처리는 데이터 세트 D를 기반으로 w의 점 추정치를 생성하고, 이 추정치의 불확실성을 다음과 같은 사고 실험을 통해 해석하려고 시도합니다. N 크기의 각 독립적으로 추출된 데이터 세트 D가 분포 p(t, x)에서 독립적으로 그려진 것으로 가정합니다. 특정 데이터 세트 D에 대해 우리의 학습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예측 함수 f(x; D)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앙상블의 다른 데이터 세트는 다른 함수를 제공하며 결과적으로 제곱 손실의 다른 값들을 얻게 됩니다. 특정 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은 데이터 세트의 이러한 앙상블에 대한 평균을 취함으로써 평가됩니다. (4.42)의 첫 번째 항의 적분 피감이 N 크기의 특정 데이터 세트 D에 대해 (4.43)의 형태를 취합니다. 이 양은 특정 데이터 세트 D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 세트 앙상블에서 이를 평균을 취합니다. 중괄호 안에 ED[f(x; D)]를 더하고 빼면서 확장하면 (4.44)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제 D에 대한 이 표현식의 기대값을 취하고 최종 항이 사라지게 하

면 (4.45)를 얻을 수 있습니다. f(x; D)와 회귀 함수 h(x) 간의 예상 제곱 차이는 두 항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항은 제곱 바이어스라고 불리며 모든 데이터 세트에 대한 평균 예측이 원하는 회귀 함수에서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냅니다. 두 번째 항은 분산이라고 불리며 개별 데이터 세트에 대한 솔루션이 평균 주변에서 얼마나 다른지를 측정하며 따라서 f(x; D) 함수가 특정 데이터 세트의 특정 선택에 민감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정의를 지지하는 몇 가지 직관을 곧 간단한 예제를 통해 고려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x의 단일 입력 값을 고려했습니다. 이 확장을 (4.42)로 되돌리면 기대 제곱 손실의 다음 분해를 얻습니다. (4.46), 여기서 (4.47 ~ 4.49)이고 이제 바이어스 및 분산 용어는 통합된 양으로 참조됩니다. 우리의 목표는 기대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인데, 이는 (제곱) 바이어스, 분산 및 상수 노이즈 항의 합으로 분해되었습니다. 보게 될 것처럼 바이어스와 분산 간에는 트레이드 오프가 있으며, 매우 유연한 모델은 낮은 바이어스와 높은 분산을 가지며, 비교적 강건한 모델은 높은 바이어스와 낮은 분산을 가지게 됩니다. 최적의 예측 능력을 가진 모델은 바이어스와 분산 간의 최상의 균형을 찾는 것입니다. 이는 앞서 소개한 사인 데이터 세트를 고려하여 설명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N = 25 데이터 포인트를 포함하는 각각 100 개의 데이터 세트를 독립적으로 생성하고 사인 곡선 h(x) = sin(2πx)에서부터입니다. 데이터 세트는 l = 1,...,L로 색인되며, 여기서 L = 100입니다. 각 데이터 세트 D(l)에 대해 총 25 개의 매개 변수를 제공하기 위해 M = 24 개의 가우시안 기저 함수와 상수 '바이어스' 기저 함수를 사용하여 모델을 적합시킵니다. 정규화된 오류 함수 (4.26)를 최소화함으로써 예측 함수 f(l)(x)를 얻습니다. Figure 4.7에 표시된 것처럼 상단 행은 낮은 분산(왼쪽 그림에서 빨간 곡선이 유사하게 보이기 때문)과 높은 바이어스(오른쪽 그림에서 두 곡선이 매우 다르기 때문)를 가진 정규화 계수 λ의 큰 값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아래 행은 λ가 작은 경우로 큰 분산(왼쪽 그림에서 빨간 곡선 간의 높은 변동성으로 나타남)과 낮은 바이어스(평균 모델 적합과 원래 사인 함수 간의 좋은 적합이 나타남)를 가집니다.

복잡한 모델에 대한 M = 25의 여러 해를 평균하는 결과는 회귀 함수에 매우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평균화가 유익한 절차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실제로 가중 평균화는 베이지안 접근의 핵심에 놓여 있으나, 이 평균화는 매개변수의 사후 분포에 대한 것이며 다수의 데이터 집합에 대한 것은 아닙니다. 이 예제에 대해 편향-분산 트레이드오프를 양적으로 조사할 수도 있습니다. 평균 예측은 (4.50)에서 추정되며, 그런 다음 통합 제곱 편향과 통합 분산은 (4.51~4.52)에서 주어집니다. 여기서 x에 대한 적분은 분포 p(x)로 가중된 상태에서 해당 분포에서 뽑은 데이터 포인트를 통한 유한한 합으로 근사화됩니다. 이러한 양은 Figure 4.8에서 ln λ의 함수로 플로팅됩니다. 우리는 λ의 작은 값들이 각 개별 데이터 세트의 노이즈에 민감하게 조정되어 큰 분산을 초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큰 λ 값은 가중치 매개변수를 제로로 끌어당겨 큰 편향을 초래합니다. 편향-분산 분해는 데이터 집합의 앙상블에 대한 평균에 기초하므로 실제로는 단일 관측된 데이터 세트만 가지고 있습니다. 주어진 크기의 독립적인 교육 세트가 많다면 이를 단일 큰 교육 세트로 결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며, 물론 주어진 모델 복잡성에 대한 오버핏 수준을 감소시킬 것입니다. 그러나 편향-분산 분해는 종종 모델 복잡성 문제에 대한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며, 이 장에서는 회귀 문제의 관점에서 소개했지만 근본적인 직관은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정리

∙ 

 

📌 목차

1. Discrete Variables
2. The Multivariate Gaussian

3. Periodic Variables
4. The Exponential Family
5. Nonparametric Methods
cf. Hypothesis Testing

 

🧐  preview: Density Estimation

확률분포와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확률밀도 추정: Density Estimation]
유한한 관측값 집합 x1, . . . , xN이 주어졌을 때, 확률 변수 x의 확률 분포 p(x)를 모델링하는 것
기본적으로 밀도추정은 불균형하며, 무한히 많은 확률분포가 유도될 수 있기에 적절한 분포를 선택하는 것이 기계학습의 fitting측면에서 중요하다 할 수 있다.

[Main Interest]:
Gaussian Distribution with discrete variables
Maximum Likelihood
이때, 기본적으로 관찰된 data는 i.i.d로 가정한다.

[non-parametric density estimation]:
∙ 매개 변수 접근법의 한계점: 특정한 분포의 기능 형태를 가정한다는 것
→ 이는 특정 응용에 부적절
→ 대안적인 접근법으로 "비매개변수 밀도추정법" 사용:
Dataset의 크기에 따라 분포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분포형태가 아닌, "모델복잡성을 제어"
ex) Histogram, nearest neighbors and kernels에 기반한 3가지 non-parametric방법에 대해 고려.

∙ 비매개 변수 접근법의 한계점: 모든 훈련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것

 Deep Learning: 
매개 변수 모델(유연한 분포를 고려하는 효율성) + 비매개 변수 방법(일반성)
→ 많지만 고정된 수의 매개 변수를 가진 신경망에 기초, 다양한 분포를 고려.

 

 

 

 

 

 

 


1. Discrete Variables

1.1  Bernoulli distribution

이진확률변수 x ∈ {0, 1}에 대해, x = 1의 확률은 매개 변수 μ이라 하자.
x = 1의 확률: p(x=1 | μ) = μ이다. (0 ≤ μ ≤ 1).
x = 0의 확률: p(x=0 | μ) = 1 − μ.
∴ x에 대한 확률 분포 = 베르누이분포:
이 분포가 정규화되어 있고, 평균 및 분산 아래와 같다: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ernoulli distribution의 likelihood함수]
이제 x의 관측값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집합 D = {x1,...,xN}에 대해
μ에 대한 관측치가 p(x|μ)에서 독립적으로 추출되었다는 가정 하에 아래와 같다: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이제, 이 likelihood함수 최대화로 μ값을 추정해보자.
위 likelihood of Bernoulli distribution 함수의 핵심은 관측치 x가 ∑x를 통해서만 의존한다는 점이다.
ln p(D|μ)를 μ에 대해 미분하여 0으로 놓으면 MLE값을 얻을 수 있다:

이를 μML로 표시하며 sample mean이라 한다.

1.2  Binomial distribution

Dataset size: N
binary variable: x
x의 관측치 수: m

이 m에 대한 분포를 이항분포라 하며, 이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N m) ≡ N! / (N-m)!m!은 N개의 동일한 객체 중에서 m개의 객체를 교체없이 선택하는 방법의 수이다.
아래 그림은 N = 10 , μ = 0.25에인 이항분포 그래프이다.
cf) 이 결과는 미적분을 사용하여 직접 증명할 수도 있다.

1.3  Multinomial distribution

이진변수: 둘 중 하나를 갖는 양을 설명 시 사용.

One-hot Encoding:

다만, 우린 K가지 상태 중 하나를 갖는 이산변수와 훨씬 근접함.
이때, 변수표현을 위해 1-of-K scheme = "One-Hot Encoding" 방법이 사용됨.

이 방법에서 변수는 K차원 벡터 x에 의해 나타나며, 여기서 요소 xk 중 하나는 1이 되고 나머지 요소는 모두 0이 된다.
ex) K = 6이고 ,변수의 특정 관측치가 x3 = 1에 해당한다면?


xk = 1의 확률을 매개 변수 μk로 표시하면 x의 분포는 p(x|μ)로 주어지며, 여기서 μ = (μ1, . . . , μk)T이다.
μk ≥ 0 및 ∑k μk = 1 제약을 따를 때, 분포는 아래와 같다:
이 분포는 Bernoulli분포를 2개 이상의 결과로 일반화 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 분포가 정규화 되어있음은 아래 식으로 확인 가능하다:

Sufficient Statistics (충분통계량):

이제 N개의 독립적인 관측치 x1,...,xN의 데이터 집합 D에 대해 Likelihood함수 p(D|μ)는 아래와 같다:
이 식에서 Likelihood함수가 N개 data point를 통해서만 K개 양을 나타내는 것을 
분포에 대한 충분통계량이라 하며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MLE with Lagrange multiplier:

이제, μ에 대한 MLE를 위해 μk에 대한 ln p(D|μ)를 최대화를 해야하는데,
이때 μk는 합이 1이라는 제약 조건을 고려해야한다.
이는 라그랑지 승수 λ를 사용하여 최대화 가능하다:
위 식에서 μk에 대한 도함수를 0으로 놓으면:
이제 위 식에을 제약 조건 ∑k μk = 1에 대입하여 라그랑지 승수 λ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μk에 대한 최대 우도 해를 다음과 같이 얻는다:

Multinomial Distribution:

위의 μk는 xk = 1인 경우의 관측값 N에 대한 비율이며,
이때, μ와 총 관측 수 N에 대한 조건부 m1, ..., mk의 결합 분포도 고려할 수 있는데 좌측 식에 따르면, 이 결합분포는 아래와 같다.
위의 m에 대한 결합분포를 다항분포, Multinomial Distribution이라 한다.
cf) 이진변수는 이항분포에 의해 표현하거나 K=2로 두고 1-of-2변수로 표현가능하다.
cf) K≥2인 경우에 Multinoulli Distribution이라고도 부른다.

 

 

 

 

 

 

 

 

 

 

 

 

 


2. The Multivariate Gaussian

prev.

 D차원 벡터 x에 대해 다변량 Gaussian분포는 아래와 같다:
μ: D차원의 평균 벡터.
Σ: D × D 의 Covariance Matrix.
det Σ: Σ의 행렬식.
CLT:&nbsp;&nbsp;N &rarr; &infin;일 때 가우시안에 수렴할 것

Gaussian Distribution은 최대 엔트로피, CLT 등에서 많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변량에서도 성립하기에 이에 대해 알아보자.

 

2.1  Geometry of the Gaussian

Gaussian분포에 대해 기하학적으로 고려해보자.
x에 대한 함수적 의존성은 아래 2차 형태로 나타난다:

: μ에서 x까지의 Mahalanobis Distance (cf. Σ=I 일 때, euclidean distance로 축소.)

Σ가 대칭행렬일 때, 손실이 없다.
이제, Σ에 대한 고유벡터 방정식을 고려하자:
i = 1, ... , D
Σ가 실수이고 대칭 행렬이므로
∙ eigen value는 실수
∙ eigen vectors는 orthonormal set을 만족.
(cf. orthonormal: 정규직교)

Σ는 고유벡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분산 행렬의 inverse도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Σ-1을 Mahalanobis Distance 제곱식에 대입하자:
{yi}: 기존 xi좌표에 대해 shift 및 rotate된 orthonormal vectors ui로 정의된 새로운 좌표계.
이제, 벡터 y = (y1,...,yD)T를 형성하면
여기서 U는 행이 uiT로 주어지는 행렬로. uiTuj = Iij식으로부터 U가 orthogonal matrix임을 알 수 있다.


∴ Gaussian Density는 2가 일정표면상일 때 일정.
모든 고유값 λi가 양수 → 이러한 2는 타원체를 나타냄.
이때, 그 중심은 μ에 있으며 축은 ui를 따라 정렬.
축의 방향으로의 스케일링 요소는 λi1/2로 주어진다.

정부호 행렬과 반정부호 행렬

→ Gaussian분포가 잘 정의되려면 Σ의 모든 고유값 λi가 무조건 양수!
이때, λ가 모두 양수인 대칭행렬을 positive definite(양의 정부호)라 한다.
if not) 분포가 올바르게 정규화❌

→ latent variable model에서 λi 중 하나 이상이 0인 경우,
분포는 특정 차원의 부분 공간으로 제한되고 특이하게 되는데,
모든 고유값이 비음수인 공분산 행렬을 positive semidefinite(양의 반정부호)라 한다.


이제 yi에 의해 정의된 새로운 좌표계의 Gaussian분포형태를 살펴보자.
x→y계로 갈 때, Jacobian Matrix J에 대해 요소는 다음과 같다:
행렬 U의 정규직교성(orthonormality)을 사용하면 J의 제곱은:
∴ |J|=1이고, 공분산 행렬의 행렬식 |Σ|은 그 고유값들의 곱이므로:
yj 좌표계에서의 Gaussian분포
= 독립된 D개의 단변량 Gaussian분포의 곱:

∴ eigen vector는 결합확률분포를 새로운 shift 및 rotated좌표로 정의.
이를 통해 결합확률분포가 독립적인 분포의 곱으로 분해된다.
→ y좌표계 분포의 적분은 다음과 같다:
이는 다변량 가우시안 N (x | μ,Σ)가 실제로 정규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2.2  Moments

cf) 요약: 1차 모멘트 = 평균 μ, 2차모멘트 = 분산 E[xxT]

이제 Gaussian분포의 moments와, moments로 μ와 Σ를 알아보자.
위 식은 x에 대한 기댓값 식이며, z = x - μ를 사용해 변수를 변경했다.

지수가 z의 구성 요소에 대한 짝수 함수, (-∞, ∞)에서 적분이 수행
→ (z + μ)의 항은 대칭에 의해 사라진다.

 

이로써 μGaussian분포의 평균이라 부른다.

∙ Gaussian의 1차 moments: μ (= 평균)


이제 Gaussian의 2차 moments를 고려해보자.
cf) 단일 변수의 경우 E[x2]가 2차 moments.
다변량 가우시안의 경우 E[xixj]로 주어지는 D22차 moments로 행렬 E[xxT]를 형성.
이 행렬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도 z = x - μ를 사용하여 변수를 변경.
μzT 및 μTz를 포함하는 교차 항은 다시 대칭에 의해 사라진다.
μμT 항은 상수이며 정규화된 가우시안 분포이기 때문에 적분 자체는 1이다.

zzT를 포함하는 항을 고려해보면, 다시 한번 공분산 행렬의 고유벡터 전개식인 (3.28)과 고유벡터 집합의 완성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중간 라인의 적분은 i = j가 아닌 경우에는 대칭에 의해 사라지므로 결과적으로 아래 식을 얻는다.


단일 랜덤 변수의 분산을 정의할 때 두 번째 모멘트를 가져가기 전에 평균을 뺐으므로
다변량 경우에도 평균을 뺀 채로 정의된 랜덤 벡터 x의 공분산을 고려하는 것이 편리하다:
특정한 경우인 가우시안 분포의 경우, E[x] = μ와 E[xxT]결과를 함께 사용하면:
행렬 Σ가 가우시안 분포에서 x의 공분산을 지배하므로 이를 공분산행렬이라한다.

 


2.3 Limitations.

[Gaussian분포의 주요 한계점]:
일반 공분산 대칭행렬 Σ:
∙ D(D + 1)/2개의 독립적인 매개 변수를 가짐.
∙ μ에서 또 다른 D개의 독립적인 매개 변수가 존재.
∴  총 D(D + 3)/2개의 매개 변수가 존재, 행렬 조작 cost⇧

→ sol) Σ의 제한된 형태의 사용.

i) 공분산 대각행렬을 갖는 경우( Σ = diagi2)) 이 모델에서는 총 2D개의 독립적인 매개 변수가 존재하며, 해당 모델의 밀도등고선은 축에 정렬된 타원형으로 주어진다. (b)에 해당

ii) Σ을 I 행렬에 비례하도록 제한할 수도 있는데, 이를 등방성 공분산이라고한다. (c)에 해당
모델에서 D + 1개의 독립적인 매개 변수가 생성되며 등방성 표면의 등고선이 된다.
일반, 대각 및 등방성 공분산 행렬의 세 가지 가능성은 아래그림에 설명되어 있다.
(a): 일반적인 gaussian분포, (b): Diagonal인 gaussian분포, (c): Identity matrix일때의 분포.


장점) 분포의 자유도 수를 제한, 공분산 행렬의 역을 빠르게 계산
단점)
∙ 확률 밀도의 형태 및 데이터의 흥미로운 상관 관계를 제한.
∙ Gaussian분포는 그자체로 본질적인 단일최댓값(= uni-modal)
→ multi-modal distribution에 좋은 근사치 제공이 불가능. (= 유연하지 않음.)
→ 다만 이는 latent variable의 도입으로 해결가능.

2.4 Conditional distribution

다변량 Gaussian의 주요특성:
두 변수가 jointly Gaussian이라면, 다른 것을 기준으로 한 조건부분포와 주변분포가 Gaussian이라는 것.


① 조건부 분포의 경우:

x ~ N (x|μ, Σ)의 D차원 벡터
x를 두 부분집합 xa와 xb로 분할하고 일반성을 잃지 않을 때,
xa를 x의 첫 M개 구성 요소로,
xb를 나머지 D - M개의 구성 요소로 가질 수 있으므로 우측과 같다.

또한 평균 벡터 μ와 공분산행렬 Σ의 해당 분할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자.


공분산 행렬의 대칭성 ΣT = Σ는 다음을 의미한다:
Σaa와 Σbb가 대칭이므로 , Σba = ΣabT이다.
많은 상황에서 공분산 행렬의 역인 정밀도 행렬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precision matrix
실제로 Gaussian 분포의 몇 가지 속성은 공분산을 통해 가장 자연스레 표현.
다른 속성은 정밀도를 통해 더 간단한 형태를 가지므로
정밀도 행렬의 분할된 형태는 아래와 같다:
이때, 벡터 x의 분할 x = [xa, xb]T에 해당한다.
여기서 대칭 역행렬도 대칭이므로 Λaa와 Λbb가 대칭이고 Λba = ΛabT이다.



유의점:
 Λaa가 단순히 Σaa의 역이 아니다. (분할된 역행렬과 그 분할의 역에 대한 구분이 중요.)

ex) Gaussian분포의 지수항을 정의하는 2차식을 고려.
for. 조건부 Gaussian 분포 p(xa|xb)의 평균과 공분산을 찾기 위해
이때, 관측 값으로 xb를 고정, 결과 식을 정규화→ xa에 대한 유효한 확률 분포를 얻음
위 방식은 조건부 분포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률의 곱셈 법칙으로 알 수 있다.


명시적으로 정규화하는 대신에는 Gaussian분포의 지수항에서 완전제곱수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고려하여 정규화 계수를 얻을 수 있는데, 일반적인 이차형식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다:

xa에 대한 함수로 볼 때 이는 다시 이차형식이므로 해당 조건부 분포 p(xa|xb)는 Gaussian이다.
이 분포는 그 평균과 공분산에 의해 완전히 특성화되므로 위 식으로 p(xa|xb)의 평균과 공분산을 식별해보자.

이를 보통 "완전제곱수(Completing the Square)"라 하는 Gaussian분포와 관련된 일반적인 도식으로
여기서 Gaussian의 지수항에서 지정된 계수행렬을 x의 공분산역행렬로 결정해야 하는 일이라고 하는데,
이때 문제는 그 결과로 평균과 공분산을 얻는 것이다.

이런 문제는 일반적인 가우시안 분포 N (x|μ, Σ)의 지수항을 아래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간단히 해결가능하다.
'const': x와 독립적인 항
Σ의 대칭성에 따라 일반적인 이차식으로 위 식처럼 표현하면
즉시 x의 이차항에 있는 계수행렬을 공분산 역행렬 Σ-1
x의 일차항의 계수를 Σ-1μ로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μ를 얻을 수 있다.


이제 이 절차를 조건부 가우시안 분포 p(xa|xb)에 적용하여 지수항이 아래와 같이 주어진 경우의 결과를 알아보자:
이 분포의 평균과 공분산을 각각 μa|b와 Σa|b라 하자.
위 식에서 지수항의 이차형식을 고려해 보.
xb를 상수로 간주할 때 ,xa에 대한 이차항을 모두 추출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p(xa|xb)의 공분산(정밀도의 역)은 아래와 같다:
이제 xa에 대한 1차항을 모두 포함하는 위 식의 모든 항을 고려해보자: (이때, ΛTba = Λab.)

아래 일반적인 형태 식의 논의에서 이 표현의 xa에 대한 계수는 Σa|b-1μa|b와 같아야 하므로 아래와 같다:

위 결과는 원래 joint distribution, p(xa, xb)의 분할된 정밀도 행렬로 표현되므로
해당 분할된 공분산 행렬의 용어로도 표현가능하다.
이때, 아래처럼 분할된 역행렬에 대한 다음 항등식을 사용하자:

여기서 M은 아래와 같다:

M-1은 왼쪽에있는 행렬에 대한 행렬 D에 대한 Schur complement이다.

아래 정의에 따라 위의 [A B C D]-1에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이때, 조건부 분포 p(xa|xb)의 평균과 공분산에 대한 다음 식:



이제, 도출된 아래 두 식을 비교해보자:
조건부 분포 p(xa|xb)는 분할된 공분산 행렬 용어로 표현될 때, 더 간단한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조건부 분포 p(xa|xb)의 평균인 μa|b는 xb의 선형 함수이며
위 식의 아래항에서 주어지는 공분산은 xb와 독립적이다.
이것은 선형 가우시안 모델의 예이다.

2.5 Marginal distribution

if) 결합 분포 p(xa, xb)가 Gaussian →조건부 분포 p(xa|xb)도 Gaussian
이제 우리는 주변분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위 식에서 알 수 있듯, 주변분포 역시 Gaussian이다.
즉, 이 분포 계산 시, 결합 분포 지수항의 이차형식에 중점을 두어 주변 분포 p(xa)의 평균과 공분산을 알아보기위해 분할된 정밀도 행렬을 사용하면 아래 식과 같다:

이제, xb와 관련된 항을 고려한 후, integration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완전한 제곱을 수행하는 것으로 xb에 대해 integration을 하자. 여기서 xb를 포함하는 항만 추출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m은 좌측과 같이 정의된다.

이를 통해 xb에 대한 의존성이 Gaussian분포의 표준 이차형식으로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위 식의 우항 중 첫항에 해당하며 xb에 의존하지 않는 항(다만 xa에 의존)이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 이차형식의 지수를 취하면 위 식에서 필요한 xb에 대한 적분은 아래 식과 같다:
이 적분은 정규화되지 않은 Gaussian의 적분이다.
∴ 이 식의 결과는 정규화 계수의 역수가 된다. 


Multivariate Gaussian분포 식에서 주어진 정규화된 Gaussian형태에서 이 계수가 평균과 무관하며 공분산 행렬의 행렬식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xb에 대한 완전제곱을 통해 xb를 적분하여
Marginal distribution식의 좌측항의 contribution 중 xa에 의존하는 유일한 항으로 남게된다.
이는 위 식의 오른쪽 마지막 항이며 이때 m은 위와 같습니다.
이 항을 좌측식에서 나온 xa에 의존하는 나머지 항들과 결합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const'는 xa에 독립적인 양을 나타낸다.

이때, 공분산은 아래와 같다:
위 공분산은 분할된 정밀도 행렬을 이용하여 표현되는데, 우리는 분할된 공분산 행렬의 대응하는 분할로 다시 쓸 수 있다. 
이러한 분할된 행렬들은 위의 행렬과 관련되어있다.


이제, 위의 관계식을 이용하면, 아래 식을 얻는다:
따라서 주변 분포 p(xa)가 주어진 평균과 공분산을 가지게 됨을 아래 식으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주변 분포의 경우에는 평균과 공분산이 분할된 공분산 행렬의 용어를 사용하여 가장 간단하게 표현되며,
조건부 분포의 경우에는 분할된 정밀도 행렬이 더 간단한 표현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우리가 분할된 가우시안의 주변 및 조건부 분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주어진 결합 가우시안 분포 N (x|μ, Σ)가 있고 Λ ≡ Σ-1 및 다음 분할을 가지면, 아래와 같다:
조건부 분포는 아래와 같고:
주변 분포는 아래와 같다:


우리는 이러한 조건부 및 주변 분포의 아이디어를 두 변수를 포함하는 예제를 사용하여 다변수 가우시안에 관련된 조건부 및 주변 분포를 설명하는데, 이에 대해 아래그림에서 확인가능하다.

 


2.6 Bayes' theorem

3.2.4 및 3.2.5 절에서는 우리가 벡터 x를 두 하위 벡터 x = (xa, xb)로 분할한 가우시안 p(x)를 고려했고, 
조건부 분포 p(xa|xb) 및 주변 분포 p(xa)에 대한 식을 찾았으므로 조건부 분포 p(xa|xb)의 평균이 xb의 선형 함수임을 주목했었다.

이제 주어진 Gaussian Marginal Distribution p(x)와 가우시안 조건부 분포 p(y|x)를 가정해보자.
p(y|x)의 평균은 x의 선형 함수이고, 공분산은 x와 독립인 선형-가우시안 모델의 예이다(Roweis와 Ghahramani, 1999).

이때, 주변 분포 p(y)와 조건부 분포 p(x|y)를 찾아보자. 
이는 몇 가지 종류의 생성 모델에서 발생하는 구조이며 여기에서 일반적인 결과를 유도하는 것이 편리하다.


주변 및 조건부 분포를 아래처럼 가정했다 하자:
이때, μ, A, b는 평균을 조절하는 매개변수이고, Λ 및 L은 정밀도 행렬이다.
x의 차원이 M이고 y의 차원이 D이면 행렬 A의 크기는 D × M이다.

먼저 x와 y에 대한 결합 분포를 찾아보기 위해 z = [x, y]로 정의한 후, 결합분포의 log를 취하자:
(이때, const는 x와 y에 대해 독립적인 항)


이전과 마찬가지로 z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제곱 함수이기 때문에 p(z)는 가우시안 분포입니다. 

이 가우시안의 정밀도는 아래와 같다:

따라서 z에 대한 가우시안 분포의 정밀도 행렬은 아래와 같다:
정밀도행렬에 역을 취함으로써 공분산 행렬을 찾을 수 있다:

유사하게 우리는 z에 대한 가우시안 분포의 평균을 찾을 수 있는데,
lnp(z) 식의 선형 항을 식별하여 주어진다.
이는 위 식에서 주어진 것과 같다.
다변수 가우시안의 이차형식에 대한 완전제곱 결과로 얻은
이전의 결과인 아래 식을 사용해보자.

이를 이용하면, z의 평균은 아래 식으로 주어진다:


이제, cov[z]를 사용하면, 아래 식을 얻는다:

이제, x를 제거하고 y에 대해 주변 분포 p(y)의 식을 찾아보자.
Gaussian Random Vector의 부분집합에 대한 주변분포 → 분할된 공분산 행렬을 사용하여 특히 간단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평균과 공분산은 각각 아래와 같다:
여기에 아래 식을 사용하면
주변 분포 p(y)의 평균과 공분산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이 결과의 특별한 경우는 A = I인 경우로 주변 분포는 두 가우시안의 합성으로 축소되며,
여기서 convolution의 평균은 두 가우시안의 평균의 합이고
convolution의 공분산은 그들의 공분산의 합이다.


마지막으로 조건부 p(x|y)에 대한 표현을 찾아보자. 
조건부 분포에 대한 결과는 주로 분할된 정밀도 행렬의 용어를 사용하여 가장 쉽게 표현된다.
이때, 조건부 분포 p(x|y)가 주어진 경우 평균 및 공분산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이 조건부 분포의 평가는 Bayes의 정리의 한 예시로
이때, p(x)를 x에 대한 사전 분포(prior)로 해석된다.
변수 y가 관측되면 조건부 분포 p(x|y)는 x에 대한 사후 분포(posterior)이다.
주변 및 조건부 분포를 찾은 후에는 효과적으로 결합 분포 p(z) = p(x)p(y|x)를 p(x|y)p(y)의 형태로 나타낸다.

[결과 요약]
x에 대한 주변 가우시안 분포와 x가 주어진 경우 y에 대한 조건부 가우시안 분포가 아래와 같이 주어질 때:
y의 주변 분포와 y가 주어진 경우 x의 조건부 분포는 아래와 같다:

2.7 Maximum Likelihood

다변량 가우시안 분포에서 i.i.d의 {xn} Dataset: X = (x1,...,xN )T와, Log Likelihood함수가 아래와 같이 주어질 때,
해당 분포의 매개변수에 대한 MLE를 진행해보자.

먼저, Likelihood함수는 Dataset에 대해 아래 두 값에 의존한다.
이때, 두 값은 Gaussian Distribution의 Sufficient Statistics로 알려져있다.
참고식 1.
참고식 1.에 의해 μ에 대한 Log Likelihood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MLE:
μ: 이 도함수를 0으로 설정, ML의 평균에 대한 해를 얻는다. 최대 우도 추정의 평균에 대한 해를 얻을 수 있다:
이는 Dataset point의 평균값이다.
Σ: Log Likelihood함수식을 Σ에 대해 최대화하는 것은 더 복잡하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대칭 제약 조건을 무시하고 결과적인 해가 요구되는 대로 대칭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Magnus&Neudecker의 대안적 유도방법]: 명시적으로 대칭 및 양의 정부호 제약 조건을 부과.
결과는 위와 같이 μ 및 Σ에 대한 결합 최대화의 결과이므로 μML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μML은 ΣML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먼저 μML을 계산한 다음 이를 사용하여 ΣML을 평가해야한다.
따라서 ML값의 기댓값을 실제분포하에서 계산하면 위와 같다.

[❗️유의할 점❗️]:
평균에 대한 MLE기댓값은 실제 평균과 같지만,
공분산에 대한 MLE 기댓값이 실제 값보다 작기 때문에 편향되어 있다는 것.
이 편향을 수정하려면 다른 추정량을 정의하면 된다:

 


2.8 Sequential estimation

MLE는 전체 Dataset을 한번에 고려하는 일괄처리(batch)방법이다.
Sequential방법은 Data point를 한번에 하나씩 처리 후 버리는 방법이다.

평균 μ에 대한 최대 우도 추정치의 결과를 고려해보자:
μML(N):관측값 N을 기반 평균.
이제, 최종 datapoint xN의 contribution을 분리하면 아래와 같다:
해석)
(N-1)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관측한 후, μ을 μML(N −1)로 추정
이제 data point xN을 관측 → 우리는 오래된 추정치를 '에러 신호' (xN − μML(N−1))의 방향으로 작은 양만큼 이동 → 수정된 추정치 μML(N)를 얻음.

이때, N이 증가함에 따라 연속적인 data point에서의 contribution이 줄어든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즉, data point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data point가 전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진다는 것이다.

 


2.9 Mixtures of Gaussians

[Gaussian분포의 주요한계]
아래 Figure 3.6(a)에 나와 있는 예시를 보자.
(Old Faithful Dataset: Yellowstone National Park의 Old Faithful 지옥 화구의 폭발을 272번 측정한 데이터;
(가로 축): 폭발지속시간, (세로 축): 다음 폭발까지의 시간)

이때, Dataset은 2개의 cluster를 형성하는데, 단순 Gaussian분포는 이 구조를 포착할 수 없다.
2개의 Gaussian을 합성한 것이 이 Dataset구조를 훨씬 더 잘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는데, 이는 Figure 3.6(b)에서 확인가능하다.

합성 Gaussian 모델:
Gaussian처럼 기본적인 분포의 선형조합으로 이뤄진 확률적 모델.


보다 일반적으로 혼합 모델은 이진 변수에 대한 베르누이 분포의 혼합과 같이 다른 분포의 선형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Figure 3.7에서 Gaussian의 선형조합이 매우 복잡한 밀도를 생성함을 확인가능하다:

∙ 충분한 수의 가우시안을 사용하고
∙ 평균 및 공분산뿐만 아니라 선형 조합에서의 계수를 조정
→ 거의 모든 연속 분포를 원하는 정확도로 근사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K개의 Gaussian밀도의 합으로 표현되는 형식의 Mixture Gaussian을 고려가능하다.
각 가우시안 밀도 N (x|μk , Σk )는 혼합의 구성 요소이며 각각 자체의 평균 μk 및 공분산 Σk를 갖는다.
아래 Figure 3.8은 3가지 구성 요소가 있는 2차원 Gaussian Mixture의 등고선 및 표면을 볼 수 있다.

이때, 위 p(x) 식의 πk를 혼합 계수라고하는데,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해 적분하고 p(x)와 개별 가우시안 구성 요소가 모두 정규화되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아래 식이 된다:
N(x|μk , Σk) ≥ 0이고 모든 k에 대해, πk ≥0이 p(x) ≥ 0의 충분조건. 
이때, 이 조건을 위 조건과 결합하면 아래와 같다:
따라서 혼합 계수가 확률로 해석될 수 있는 조건을 충족시키고 혼합 분포의 이러한 확률적 해석이 매우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합과 곱의 법칙에서 주변 밀도는 아래와 같은데, 이는 p(x)식과 같음을 볼 수 있다:

이때, πk = p(k)를 k번째 구성 요소를 선택할 사전 확률로 볼 수 있고
 N(x|μkk) = p(x|k)를 k에 조건을 둔 x의 확률로 볼 수 있는데,
이는 posterior 확률 p(k|x) 또는 책임이라고도 불리는 사후 확률이라 한다. 
Bayes' Theorem에 따르면 posterior는 이와 같다.

Gaussian Mixture는 π, μ, Σ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값 결정방법 중 하나는 MLE이다.
(이때 π ≡ {π1,...,πK}, μ ≡ {μ1,...,μK}, 및 Σ ≡ {Σ1,...ΣK} 로 표기됨.)


p(x)에서 Log Likelihood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이때, 단번에 single Gaussian보다 훨씬 복잡함을 알 수 있기에 매개 변수에 대해 MLE의 해는 더 이상 닫힌 형태의 해가 아니다. 

 

 

 

 

 

 

 

 

 

 

 

 

 


3.  Periodic Variables

prev.

Gaussian: 기본 골조로써 중요하긴 하나 연속확률밀도모델로써 부적절한 상황이 존재.
ex) 주기성을 갖는 변수일 때. (ex. 풍향, 달력시간, ...)

이런 주기적 변수의 양은 편의성을 위해 각도좌표(극좌표) 0 ≤ θ < 2π를 사용한다.

이때, 주기변수에 대한 명확하고 특별한 접근방식이 필요한데, 
Gaussian같은 전통적인 분포의 적용의 접근은 원점의 임의적인 선택에 강하게 의존하는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ex) 예를 들어 θ1 = 1° 및 θ2 = 359°에서 두 관측치에 대해 표준 단변량 가우시안 분포를 사용하여 모델을 만든다면
원점을 0°: 표본 평균=180°, 표준 편차=179°
원점을 180°: 표본평균=0°, 표준 편차=1°

3.1 Von Mises distribution

주기변수 θ의 관측치 Dataset D = {θ1, . . . , θN}의 평균을 평가하는 문제를 살펴보자. (이때, θ는 라디안 단위로 측정)
이미 간단한 평균인 (θ1 + · · · + θN)/N이 좌표에 강하게 의존함을 위에서 보였으므로
평균의 불변 측정을 찾기위해 관측치를 단위원 위의 점으로 볼 수 있다.
∴ 대신 ∥xn∥ = 1 (n = 1,...,N)인 두 차원 단위 벡터 x1,...,xN로 설명될 수 있는데, 아래 그림처럼 나타낼 수 있다:
대신 이 벡터들 {xn}의 평균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
이제, 이 평균의 해당 각도 ˉθ를 찾을 수 있다.
명백히 이 정의는 둘 사이(평균의 위치, 각도좌표의 원점)가 독립적임을 보장한다.

주의할 점:
x가 일반적으로 단위원 안에 위치한다는 것.
관측치의 직교 좌표는 xn = (cos θn, sin θn)으로 주어지며,
우리는 샘플 평균의 직교 좌표를 x = (rcos ˉθ, rsin ˉθ)로 쓸 수 있다.
이를 위 평균 ˉx식에 대입하고 x1 및 x2 성분을 동등하게 하면 아래 등식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 tan θ = sin θ/ cos θ 항등식을 사용하면 ˉθ를 구할 수 있다:
이제, 이 결과가 MLE로 자연스레 도출되는 것을 살펴보자.


 

Von Mises Distribution = 원형 정규분포

Von Mises분포는 Gaussian의 주기적일반화 분포이다.
관례적으로 주기=2π 분포 p(θ)를 고려한다. θ에 대한 정의된 어떤 확률 밀도 p(θ)는 단순히 비음수이고 1로 적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주기적이어야하므로 p(θ)는 아래 3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p(θ+2π)=p(θ)에 따라 p(θ + M2π) = p(θ)이며 여기서 M은 임의의 정수이다.
이 3가지속성을 만족하는 Gaussian과 유사한 분포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두 변수 x = (x1 , x2)에 대한 Gaussian분포를 고려하자.
이때, 평균 μ = (μ1, μ1)이고, 공분산 행렬 Σ = σ2I이며, 여기서 I 는 2 × 2 항등 행렬이다:
이때, 상수 p(x)의 등고선은 원형으로 아래 그림과 같다.

이제 일정 반지름의 원 위에서의 이 분포값을 고려해 보자.
이 분포는 구성에 따라 주기적이지만 정규화되지 않을 것이다.
이 분포의 형태를 결정하려면 직교 좌표 (x1, x2)에서 극좌표 (r, θ)로 변환하여
x1 = rcosθ, x2 = rsinθ로 작성해야하고,
또한 평균 μ를 극좌표로 변환하여 μ1 = r0 cosθ0, μ2 = r0 sinθ0로 작성해야 한다.
그 후 이러한 변환을 아래 이차원 Gaussian분포에 대입하자.


이제, 단위 원 r = 1에서만 관심이 있으므로 θ에 대한 의존성에만 주의하자.
Gaussian분포의 지수에 중점을 두면 아래와 같다:

 

이때, 'const'는 θ에 독립적인 항이다.
또한, 아래 삼각함수 항등식을 사용했다:

이제 m = r02로 정의하면 p(θ)의 단위원 상의 분포에 대한 최종 표현을 얻는다:

이것이 바로 폰 미제스 분포 또는 원형 정규분포라 불리는 분포이다!


θ0: 분포의 평균, m: 집중(concentration) 매개 변수(≒ Gaussian 역분산(= 정밀도))
I0(m): 정규화 계수(이는 첫 번째 종류의 수정된 베셀 함수로 알려져 있다.)
이 함수는 큰 m에 대해서는 분포가 근사적으로 Gaussian이 된다.


Figure 3.11: 폰 미제스 분포





이제 폰 미제스 분포의 매개 변수 θ0 및 m에 대한 MLE값을 구해보자.
Log Likelihood함수:
θ0에 대한 도함수를 0으로 놓으면 아래와 같다.
θ0를 구하기 위해 삼각 함수 항등식 sin(A-B) = cosBsinA - cosAsinB를 사용하면, 아래 등식을 얻는다:
이는 앞서 이차원 카테시안(Cartesian) 공간에서 관측치의 평균으로 볼 때 얻은 결과인
임을 알아차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Log Likelihood함수를 m에 대해 최대화하고
I0′ (m) = I1(m) (Abramowitz and Stegun, 1965)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θ0ML에 대한 MLE 해로 대체하면, (θ 및 m에 대한 합동 최적화):
함수 A(m)은 Figure 3.12에 나와있다.
따라서 삼각 함수 항등식 cos(A-B)로 A(mML)의 우항을 아래처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함수 A(m)은 숫자로 뒤집을 수 있다.

폰 미제스 분포의 한 가지 한계점: 단봉성
다중모양을 처리할 수 있는 주기 변수를 모델링하기 위해서
→ 폰 미제스 분포의 혼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유연한 프레임워크를 얻는다.

 

 

 

 

 

 

 


4.  The Exponential Family

prev.

혼합 모델를 제외하면, 이번 장에서의 모든 분포들을 "지수족"이라 부른다.
지수족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x에 대한 지수족 분포는 매개 변수 η가 주어진 경우 아래 분포로 정의된다:
&eta;:분포의 자연 매개 변수(natural parameters)
u(x): x함수
g(η): 분포 정규화(normalized) 계수이므로 아래를 만족:

[Bernoulli Distribution]:

위와 같이 정의되는데, 이를 μ에 대해 풀면 아래 식을 얻는데, 이를 Logistic Sigmoid함수라 부른다.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3.143)은 로지스틱 시그모이드 함수로 불립니다.
따라서 Bernoulli 분포에 1 - σ(η) = σ(−η)를 이용하면, 표준 표현은 아래와 같다:

[Multinomial Distribution]:





여기서의 μk식을 Softmax함수 혹은 정규화지수(normalized exponential)라 부른다.


[Gaussian Distribution]:


 때로는 u(x) = x를 통해 제한된 Gaussian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f(x)가 정규화된 밀도일 때 아래 식도 정규화된 밀도가 됨을 고려하면, 다소 일반화 될 수 있다:
s>0의 scale변수
이를 결합하면 아래 형태로 표현되는 제한된 지수족 클래스 조건부밀도를 얻는다.
주의할 점: 각 클래스가 자체의 매개변수 벡터 λk를 가지고 있지만
클래스가 동일한 스케일 매개변수 s를 공유한다고 가정한다는 것.

4.1  Sufficient statistics

MLE로 일반 지수족 식의 매개 변수 벡터 η를 추정해보자:

식 2 양변을 η에 대해 미분:

이후 식 재배열하고 다시 식 2를 사용하면:
식 3

u(x)의 공분산: g(η)의 이계도함수로 표현가능.
∴ 지수족분포 정규화 시, 간단한 미분으로 모멘트를 찾을 수 있다.


i.i.d의 dataset X = {x1 , . . . , xn}에 대한 Likelihood함수:
lnp(X|η)의 η에 대한 gradient = 0이라 하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얻을 수 있다:
식 4
이는 원칙적으로 ηML을 얻기 위해 해결할 수 있는 조건으로
MLE의 해가 식1의 충분통계량(sufficient statistics)인 ∑n u(xn)을 통해
데이터 자체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주목하자.

이때, N → ∞의 극한을 고려하면 식 4의 오른쪽 항은 E[u(x)]가 되며, 
식 3과 비교하여 이 극한에서 ηML이 실제 값 η와 동일하게 됨을 알 수 있다.

ex)
Bernoulli Distribution:
함수 u(x)는 x만으로 주어지므로 데이터 포인트 {xn}의 합만 유지하면 됨.

Gaussian Distribution:
u(x) = (x, x2)T이므로 {xn} 및 {x2n}의 합을 모두 유지한다.

 

 

 


5. Nonparametric Methods

prev.

[밀도모델링에 대한 모수적(parametrix) 접근]:
Dataset에서 결정되는 소수의 parameter들로 규정되는 특정기능적형태의 확률분포를 알아보자.

위 접근의 중요한 한계점:
선택한 밀도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포의 모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
→ 부정확한 예측 성능을 초래 가능.

ex) Multi-modal의 Data일 때, Gaussian으로는 분포의 측면을 포착하기 힘들다.
(∵ Gaussian은 uni-modality)
이에 대해 분포의 형태에 대한 적은 가정을 하는 밀도추정의 몇가지 비모수적 방법(Histogram, KDE 등)을 고려해볼 것이다.

5.1  Histograms

단일 연속 변수 x에 대한 histogram밀도모델의 특성을 살펴보자.

표준 히스토그램: x를 폭 ∆i로 구분, 다음 i번째 bin에 속하는 x의 관측치 수 ni를 count.
🤔 이 count를 정규화 된 확률 밀도로 변환하려면?
→ 간단히 총 관측 수 N과 bin의 폭 ∆i로 나누어 각 bin에 대한 확률 값을 얻는다:
이때, ∫p(x)dx = 1인 것이 쉽게 확인가능하며, 종종 bin은 동일한 폭 ∆i = ∆를 가지도록 선택된다.
cf) bins: 막대기 개수를 의미.
위 그림은 히스토그램 밀도 추정의 예시로 
2개의 혼합 Gaussian의 녹색 곡선분포에서 Data 추출,
세 가지 다른 bin 폭 ∆에 해당하는 히스토그램 밀도 추정의 예가 표시.
 ∙ ∆가 매우 작은 경우: 밀도 모델은 매우 뾰족 = 기본 Dataset에 없는 구조
 ∙ ∆가 너무 큰 경우: 너무 매끄럽고 결과적으로 녹색 곡선의 이중 모양 특성을 포착❌
 ∙ ∆의 최적 값은 원칙적으로 ∆의 중간 값에서 얻어진다
원칙적으로 히스토그램 밀도 모델은 bin의 가장자리 위치의 선택에도 의존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bin 폭 ∆보다 훨씬 중요하지는 않다.

장단점 (feat. 차원의 저주)

히스토그램 방법은 후술되는 방법들과 다른 특성을 갖기에 histogram계산 이후 Dataset자체가 필요없어진다.
→ Dataset이 큰 경우 유리 & Data point가 순차적으로 도착 시 쉽게 적용 가능.
→ 이는 빠른 시각화에는 유리하나 대부분의 밀도추정응용 시에는 부적합함을 의미.


Prob) 추정 된 밀도가 데이터를 생성 한 기본 분포의 특성이 아닌 bin 가장자리에 의한 이산성을 갖는다는 것.
Limit) 차원에 따른 스케일링:
D 차원 공간의 각 변수를 M 개의 bin으로 나누면 총 bin 수는 MD.
D와의 이 지수적인 스케일링은 차원의 저주(Curse of dimensionality)의 한 예시로 고차원 공간에서 지역 확률 밀도의 의미 있는 추정치를 얻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양이 방대 할 것임을 의미한다.


important Lesson)

① 특정 위치에서 확률 밀도를 추정시, 해당 지점의 일부 근처에 있는 Data point를 고려해야함.
이런 locality개념은 어떤 종류의 거리 측정을 가정해야 함을 의미. (ex) 여기서는 유클리드 거리를 가정.)
locality 속성은 bin에 의해 정의, bin 폭은 local영역의 공간범위를 나타내는 자연스러운 'smoothing' 매개 변수가 존재. 

② 좋은 결과를 얻으려면 smoothign매개 변수의 값이 너무 크지 않아야 하며 너무 작지 않아야 한다.
다항식의 차수 M 또는 정규화 매개 변수 값 λ이 중간 값에 최적화된 것과 비슷.
그렇기에 Dimension Scaling에 좀 더 나은 2가지 nonparametric기술인 Kernel Density와 K-NN에 대해 알아보자.

5.2  Kernel Densities

가정에 따르면 어떤 알려지지 않은 확률 밀도 p(x)에서 D-차원 공간(유클리드 공간으로 가정.)으로부터 관측치가 추출되고 p(x)의 값을 추정해보자. 
Locality에 대한 이전 논의에서 x를 포함하는 작은 영역 R을 고려해 볼 때, 이 영역과 연관된 확률 질량은 아래와 같다:

 

이제 p(x)에서 추출 된 N개의 관측치로 구성된 Dataset을 수집했다 가정하자.
각 Data point가 R 영역 내에 위치할 확률 P가 있으므로
영역 R 내에 위치한 점의 총 수 K는 이항 분포를 따른다:
점의 평균 비율이 E[K/N] = P이고, 이 주변의 분산이 var[K/N] = P(1 - P)/N이므로
큰 N에 대해서 이 분포는 평균 주변에 날카롭게 피크될 것이므로 아래와 같다:
그러나 영역 R이 확률 밀도 p(x)가 대략적으로 해당 영역 전체에서 상수일 만큼 충분히 작다고 가정하면 P ≃ p(x)V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R의 부피이므로 위의 K에 대한 등식과 아래 P에 대한 등식을 결합하면, 
밀도 추정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위의 p(x)의 유효성은 R 영역이 밀도가 대략적으로 해당 영역 전체에서 상수이며
동시에 R 내에 떨어지는 점의 수 K가 이항 분포가 날카로운 피크를 가지도록 충분히 크다는 두 가지 모순된 가정에 의존한다.


위의 p(x)결과를 2가지 방법으로 활용가능하다.
Data에서 V의 값을 결정→K의 값을 얻는 것으로 고정. (이는 아래 5.3의 K-NN기법을 도출한다)
우리는 V를 고정하고 데이터에서 K를 결정. (이는 커널 접근을 도출한다.)

K-NN과 Kernel밀도 모두 V가 N과 함께 축소되고 K가 N과 함께 적절한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N → ∞로 수렴한다. (Duda 및 Hart, 1973).


먼저 Kernel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일단 영역 R을 x를 중심으로 한 작은 초입방(hypercube)으로 취한다.
이 영역 내에 있는 점의 수 K를 세기 위해 아래와 같은 함수를 정의하는 것이 편리하다.
위 함수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단위 큐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커널 함수의 예시이며
이 문맥에서는 Parzen window라고도 한다.
위 함수에서 (x - xn)/h의 양이 1이 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0이 되므로 이 cube내의 Data point 총 수는 아래와 같다:

이 식을 k(u)에 대입하면 x에서 추정 된 밀도에 대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는다:

이때, 차원 D에서 한 변이 h인 초입방의 부피로 V = hD를 사용하며, 함수 k(u)의 대칭성을 사용하여 이 방정식을 이제 x를 중심으로 하는 단일 큐브 대신 N 데이터 포인트 중심의 N 큐브로 해석할 수 있다.

위의 커널 밀도 추정기식 p(x)는 히스토그램 방법이 겪었던 문제(= 즉 큐브의 경계에서의 인위적인 불연속성 문제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더 부드러운 커널 함수를 선택하면 더 부드러운 밀도 모델을 얻을 수 있으며, 흔히 선택하는 것은 Gaussian이므로 다음과 같은 커널 밀도 모델이 생성된다:
여기서 h는 가우시안 구성 요소의 표준 편차이므로 우리의 밀도 모델은 각 데이터 포인트 위에 가우시안을 배치하고 전체 데이터 세트에서 기여를 합산 한 다음 N으로 나누어 밀도가 올바르게 정규화된다.
위 그림에서는 이 모델 위의 p(x)식을 히스토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이전에 사용한 Dataset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h가 평활화 매개 변수의 역할을 하며,
작은 h에서의 잡음 감도와 큰 h에서의 과도한 평활화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h의 최적화는 모델 복잡성 문제로 히스토그램 밀도 추정에서 bin 폭의 선택이나 곡선 맞춤에 사용되는 다항식의 차수와 유사하다.

위 p(x)식에 커널 함수 k(u)를 사용하여 p(x)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얻어진 확률 분포가 어디에서나 음수가 아니며 1로 적분되도록하는 아래 조건에 따라야 한다.
p(x)식에 의해 주어진 밀도 모델 클래스를 Kernel밀도 추정기 또는 Parzen 추정기라고한다.
[장점]: 'train' 단계에서 계산이 필요하지 않아 저장소만 필요.
[단점]: Dataset크기가 선형으로 증가, 평가 비용이 크게 증가.

5.3  Nearest-neighbors

Kernel기반의 밀도추정의 단점: 하나는 커널 폭을 제어하는 매개변수 h가 모든 커널에 대해 일정하게 고정된다는 것

데이터 밀도가 높은 지역: 큰 h 값이 과도한 스무딩을 유발→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는 구조를 희석.
But❗️ h 값을 줄이면: 데이터 공간의 밀도가 작은 곳에서는 노이즈가 많은 추정값을 얻을 수 있다.
∴ h의 최적 선택은 데이터 공간 내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문제는 밀도 추정을 위한 Nearest Neighbors 방법으로 해결된다.

따라서 로컬 밀도 추정에 대한 일반적인 결과인 p(x) = K/NV 식으로 돌아가
V를 고정하고 데이터에서 K의 값을 결정하는 대신에,
고정된 값 K를 가지고 V의 적절한 값을 찾기 위해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x 주변에 위치한 작은 구를 고려하고
해당 구에 정확히 K개의 데이터 포인트가 포함될 때까지 구의 반지름을 증가시킨 후,
V를 해당 구의 부피로 설정하여 밀도 p(x)를 추정하는 이 기술을 K-Nearest Neighbors라 한다.
위 그림에서는 매개변수 K의 여러 선택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 세트에 대해 Figures 3.13 및 3.14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설명되어 있.
K의 값이 이제 스무딩의 정도를 결정하고 K가 너무 크지 않고 너무 작지 않은 최적의 선택이 있음을 다시 확인가능하다.
K -NN에 의해 생성된 모델은 전체 공간에 걸쳐 통합되지 않으므로 실제로 밀도 모델은 아니다.

이 장을 이후, 밀도 추정의 K-최근접 이웃 기술을 classification task로 확장하는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K-최근접 이웃 밀도 추정 기술을 각 클래스에 별도로 적용하고 베이즈 이론을 사용합니다.

Nk 점으로 구성된 클래스 Ck의 데이터 세트가 있을 때 새로운 점 x를 분류하려면?
→ 해당 클래스에 대한 K-NN추정 기술을 적용, 베이즈 이론을 사용.

 x를 포함하는 정확히 K개의 점이 포함 된 구를 그리면
이 구의 부피를 V로 사용하여 각 클래스와 관련된 밀도의 추정치를 얻는다(3.187). 
비조건부 밀도는 (3.188)로 주어지고 클래스 사전 확률은 (3.189)로 주어집니다. 

이제 베이즈 이론을 사용하여 (3.187), (3.188) 및 (3.189)를 결합해 클래스 소속의 사후 확률(posterior)을 얻을 수 있다.

[Step 1]
오분류 확률을 최소화하려면 새로운 점 x를 K-최근접 점을 식별하고
그 중에서 대표자가 가장 많은 클래스Kk/K에 할당한다.

[Step 2]
따라서 테스트 포인트를 분류하려면 훈련 데이터 세트에서 K 개의 가장 가까운 포인트를 식별하고
그 세트 중에서 대표자가 가장 많은 클래스에 새로운 포인트를 할당한다.

이때, 동점은 임의로 해결할 수 있는데, K = 1인 특별한 경우는 Nearest Neighbor 규칙이라고하며
test point는 단순히 훈련 세트에서 가장 가까운 포인트와 동일한 클래스에 할당된다.
이런 개념은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다:

(K = 1)의 K-NN classifier의 주요점:
N → ∞일때의 오류율*2 < 최적 분류기의 최소 오류율
이 최적의 classifier는 실제 클래스 분포를 사용하는 것이다.(Cover and Hart, 1967)


지금까지 K-NN방법과 Kernel밀도추정기의 단점:
전체 Train Dataset을 저장해야하므로 Dataset이 크면 Cost가 많이 발생.

이러한 효과는 (근사적인) 근접 이웃을 데이터 세트를 체계적으로 검색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찾기 위해 트리 기반 검색 구조를 구축하여 상쇄할 수 있지만, 이런 비모수적 방법은 여전히 심각한 제약이 있다.

반면 간단한 모수적 모델은 표현할 수있는 분포의 형태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이므로 따라서 매우 유연하면서도 모델의 복잡성을 훈련 세트의 크기와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밀도 모델을 찾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Deep Learning을 활용할 수 있다.

 

 

 

 


cf. Hypothesis Testing (가설 검정)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 통계적 가설검정: 통계적 추론의 일종으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로 나타낸다.
모집단의 실제 값에 대해 "표본정보로 가설의 합당성 여부를 검정하는 과정"



∙ Null Hypothesis: 귀무가설(H0)은 처음부터 버릴 것을 예상하는 가설.
→ 의미없는 경우의 가설.

∙ Alternative Hypothesis: 대립가설(H1)은 귀무가설에 대립되는 명제.
 귀무가설처럼 검정을 직접수행이 불가
→ 귀무가설을 기각함으로써 반증의 과정을 거쳐 증명.

가설검정 예시

ex) 전국 만 20세 이상의 평균키가 170cm라는 주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자.


Step 1. H0, H1 설정.

∙ Null Hypothesis: 20세 이상의 성인남성평균키는 170cm와 같다(= 차이가 없다).
∙ Alternative Hypothesis: 20세 이상의 성인남성평균키는 170cm와 다르다.

이제, 수집된 표본 데이터로 귀무가설의 accept/reject여부를 판단해야한다.

Step 2.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 α 결정.

accept / reject할 "유의수준" 설정. (보통 1%나 5% 즉, α값을 0.01이나 0.05로 설정.)
또한, 양측검정할 것인지 단측검정할 것인지도 설정해야한다. (양측일 때는 α/2값을 적용.)

Step 3. 표본수집, 검정통계량계산, p-value계산.

표본 수집 후, 검정통계량을 계산한다.

[검정통계량; Test Statistics]: 수집데이터로 계산한 "확률변수"
ex) 정규분포의 Z값.
이때, Z값은 표본 수, 표본 평균, 표본표준편차로 구할 수 있다.

[p-value]: 검정통계량으로 계산된 확률
즉, 추출한 표본통계량이 나타날 확률
= 귀무가설을 accept할 지 안할지의 확률.

이런 검정통계량은 분포함수에 따라 Z, t, F, 2통계량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는 p-value(= 검정통계량이 나올 확률)를 계산할 수 있다.

Step 4. p-value ≤ α면 H0기각, p-value > α 면 H0 채택.

Step 3에서 계산된 p-value와 유의수준 α를 비교.
if p_value < α:
    H1 accept
    
else:
    H0 accept


다만, p-value > α일 때, 관측확률이 유의수준보다 크다는 뜻은 귀무가설분포내에서 표본을 추출하다 우연히 발생하는 차이라 볼 수 있기에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는 것이다.



t-Test : 두 Sample그룹의 평균 비교.

∙ t-Test:
t-분포를 따르는 통계적 가설검정법.
- 귀무가설: 두 집단 평균이 동일
- 대립가설: 두 집단 평균이 다름

∙ t-Test 종류
- 단일표본 t-Test: 표본과 모집단의 평균이 다른지를 판다.
- 독립 t-Test: 두 독립표본의 평균을 비교
- 대응표본 t-Test: 동일표본대상으로 일정시간간격으로 2번 data수집, 데이터평균의 차이를 검증.


 

2-Test: 적합도∙독립성동질성 검정


∙ 적합도 검정(Goodness of fit)

1개 변수에 대해, 이 변수가 기대되는 분포를 따르는지 아닌지에 대한 검정.

즉, 실제로 관측된 값과 곧 일어날 것으로 기대하는 값을 비교하는 것.

주사위를 6번 던져 1자(점 한 개), 2자(점 두 개), 3자, 4자, 5자, 6자가 나온 비율은

귀무가설: 변수 x의 관측분포와 기대분포가 같다.

대립가설: 변수 x의 관측분포와 기대분포가 다르다.

 



∙ 독립성 검정(Test of Independence)

2개 변수가 서로 상관이 없고 독립적이라고 기대.

즉, 관찰빈도와 비교해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기대빈도의 진위 여부를 판단.

[예 1]

기침약 브랜드 A B C.

150명 환자를 대상으로

기침약의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측정

귀무가설:  변수 x, y는 서로 독립

대립가설:  변수 x, y는 독립이 아님

 






∙ 동질성 검정(Test of Homogeneity)

2개의 변수 관계를 검정하는 독립성 검정와 달리,

동질성 검정은 각 그룹들이 동질성을 가진 것인지에 대한 검정

[예]

남자와 여자의 흡연율 차이에 대해 흡연 조사.

 

귀무가설: 남자와 여자의 흡연율 확률분포가 동일

대립가설: 남자와 여자의 흡연율 확률분포가 다름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가정이 충족되어 검정이 유효한지 확인해야 한다.

1. 무작위

무작위 표본 또는 무작위 실험을 사용하여 두 표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2. 범주형 / 카테고리(categorical) 데이터

변수는 범주형 데이터

위 조건이 충족되면 카이제곱 검정.


 

F-value와 ANOVA: 분산 분석

ANOVA(Analysis of Variance)

통계학에서 2개 이상 다수의 집단을 서로 비교할 때

집단의 분산, 총 평균, 각 집단의 평균차에 의해 생긴 집단 간 분산의 비교를 통해 만들어진 f 분포를 사용해 가설을 검정하는 방법.

F-value: 잔차 오차로 인한 분산과 그룹평균의 분산에 대한 비율로 계산한 '분산'의 비율을 척도로 이용한다.



ANOVA의 가설

귀무가설(H0): 모든 샘플 평균이 동일

대립가설(Ha): 적어도 1개의 샘플 평균이 다름


[예]

7일 동안 4명의 판매원의 판매를 기록, 각 판매원의 하루 판매는 아래와 같다

※ 영업 사원들 서로 다른 요일의 판매 차이가 있는지 판단

 

d


2-Test: 적합도∙독립성동질성 검정

∙ 적합도 검정(Goodness of fit)

1개 변수에 대해, 이 변수가 기대되는 분포를 따르는지 아닌지에 대한 검정.

즉, 실제로 관측된 값과 곧 일어날 것으로 기대하는 값을 비교하는 것.

주사위를 6번 던져 1자(점 한 개), 2자(점 두 개), 3자, 4자, 5자, 6자가 나온 비율은

귀무가설: 변수 x의 관측분포와 기대분포가 같다.

대립가설: 변수 x의 관측분포와 기대분포가 다르다.



∙ 독립성 검정(Test of Independence)

2개 변수가 서로 상관이 없고 독립적이라고 기대.

즉, 관찰빈도와 비교해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기대빈도의 진위 여부를 판단.

[예 1]

기침약 브랜드 A B C.

150명 환자를 대상으로

기침약의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측정

귀무가설:  변수 x, y는 서로 독립

대립가설:  변수 x, y는 독립이 아님



∙ 동질성 검정(Test of Homogeneity)

2개의 변수 관계를 검정하는 독립성 검정와 달리,

동질성 검정은 각 그룹들이 동질성을 가진 것인지에 대한 검정

[예]

남자와 여자의 흡연율 차이에 대해 흡연 조사.

 

귀무가설: 남자와 여자의 흡연율 확률분포가 동일

대립가설: 남자와 여자의 흡연율 확률분포가 다름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가정이 충족되어 검정이 유효한지 확인해야 한다.

1. 무작위

무작위 표본 또는 무작위 실험을 사용하여 두 표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2. 범주형 / 카테고리(categorical) 데이터

변수는 범주형 데이터

위 조건이 충족되면 카이제곱 검정.


2-test 예제

어떤 동네의 주민 1,000명의 흡연 여부, 폐암 여부에 따른 분포(관찰 빈도)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관찰 빈도 흡연자 비흡연자 총합
폐암 환자 75 125 200
정상인 225 575 800
총합 300 700 1000

이 표를 보고 폐암 환자가 더 많다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정이 카이 제곱 검정이다. 카이 제곱 검정을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기대 빈도 산출

2) 카이 제곱 검정량 산출

3) 자유도 산출

4) p-value 계산

 

 

1) 기대 빈도 산출



2) 카이 제곱 검정량 산출

 

 

 

이 값을 잘 생각해보면, 관찰 빈도와 기대 빈도의 차이가 클수록 카이 제곱 검정량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아무 관련성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예상되는 기대 빈도보다 더 많은 양이 관찰되거나, 훨씬 적은 양이 관찰된다면 카이 제곱 검정량이 커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너무나도 당연한 소리지만, 카이 제곱 검정량이 클수록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라는 뜻이고,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카이 제곱 검정량이 클수록 p-value가 작아지는 방식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3) 자유도 산출

자유도=(열의 개수−1)×(행의 개수−1)=1




4) p-value 계산

다음 두 가지 과정을 생각해보도록 한다.

 i) ɑ=0.05로 하였을 때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가?

자유도가 1인 카이 제곱 분포에서 카이 제곱 검정량이 0~3.84 사이일 때 적분 값이 0.95다. 즉, 아래 그림에서 빨간색 영역의 면적이 0.95, 파란색 영역의 면적이 0.05다. 따라서, 자유도가 1일 때, 카이 제곱 검정량이 0에서 3.84 사이로 관찰될 확률은 95%라는 뜻이고, 동시에 3.84 이상 관찰될 확률은 5%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산출된 카이 제곱 검정량이 3.84보다 크면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인데, 위 폐암-흡연의 카이 제곱 검정량은 6.6964였으므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ii) 그래서 p-value가 몇인데?

0부터 산출된 카이 제곱 검정량인 6.6964까지의 자유도가 1인 카이 제곱 함수의 적분 값(아래 그림 초록색 영역)은 0.9903394이다. 따라서 p-value는 1에서 초록색 영역 넓이를 뺀 0.0097 (아래 그림 보라색 영역)이다. 즉, p-value는 산출된 카이 제곱 검정량에서부터의 카이 제곱 함수의 적분 값을 의미한다.


 

🧐 정리

∙ 

 

🏢 ETRI (2024.01.19)

📌 01.18-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 Periodic Variables3.4. The Exponential Family3.5. Nonparametric Methods
3.5.1
3.5.2
3.5.3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 출근! (8:00 - 8:30)

버스가 역시 젤 편하긴 한데 확실히 답답하고 덥고...
머리아프다

 
 
 
 

📖 공부! (9:00-12:00)

∙ Deep Learning(Bishop 2024): Chapter 3 이다.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5.1
3.5.2
3.5.3


 
아...할거 드~~~릅게 많다 진짜ㅋㅋ😱
 
 
 
 
 

🍚 밥이다 밥! (12:30~13:00)

마찬가지로 동편제(한식): 유린기? 뭐 그런게 나왔다.
후식으로는 내돈내산 녹차프라푸치노 (내 최애다ㅎㅎ)
 

 

 
 
 
 

 
 

💻 코드 작동시켜보기! (13:30-18:00)

아 슈밤...진짜 안되는거 천지...
 
 
 
 
 
 
 
 
 
 
 

 

 
 
 
 
 

 
 

🚍 퇴근! (18:30 - 19:00)

퇴근이 제일 좋다는 직장인의 말에 공감이 점점된다ㅋㅋㅋ
아침출근때문에 그냥 졸리다ㅋㅋ 피곤🩸하고ㅠㅠ



 
 
 
 

🏋🏻 운동! (19:00 -)

이제 3대 운동보단 좀 더 세분화해서 A,B루틴 안하는 날에는 가슴,삼두, 등,이두, 어께 위주로 해봐야겠다.
아 그리고 데드나 스쿼트의 경우에는 조금 텀을 둬야겠다...
격일마다 무겁게만 하다보니 오히려 퍼포먼스가 안나오는 느낌?
그래서 스쿼트와 데드의 경우에는 일주일에 1~2번정도만 본세트무게로❗️
나머지는 평소드는 무게의 8~90%정도의 중량만 들어야겠당
 
 

🏋🏻 운동 월간 계획:

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
(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
(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
 

🏋🏻 이번주:

(데드+등,이두)→A→(인클라인∙디클라인벤치, 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 오늘:  데드+등,이두


 

 
 

📌 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5.1

3.5.2

3.5.3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2024 winter > ETRI(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RI] 2024.01.23  (2) 2024.01.23
ETRI 2024.01.22  (0) 2024.01.22
[ETRI] 2024.01.18  (0) 2024.01.18
[ETRI]2024.01.17  (0) 2024.01.17
[ETRI]2024.01.16  (0) 2024.01.16

🏢 ETRI (2024.01.18)

📌 01.17-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 출근! (8:00 - 8:30)

버스가 역시 젤 편하긴 한데 확실히 답답하고 덥고...

머리아프다

 
 
 
 

📖 공부! (9:00-12:00)

∙ Deep Learning(Bishop 2024): Chapter 3 이다.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5.1

3.5.2

3.5.3



 
아...할거 드~~~릅게 많다 진짜ㅋㅋ😱
 
 
 
 
 

🍚 밥이다 밥! (12:30~13:00)

마찬가지로 동편제(한식): 제육과

후식으로는 교수님께서 사주신 녹차프라푸치노 (내 최애다ㅎㅎ)

 


 

 
 
 
 

 
 

💻 코드 작동시켜보기! (13:30-18:00)

아 슈밤...진짜 안되는거 천지...

 

 

 

 

 

 

 

 

 

 

 


 


 
 

 

 

 


 
 

🚍 퇴근! (18:30 - 19:00)

퇴근이 제일 좋다는 직장인의 말에 공감이 점점된다ㅋㅋㅋ
아침출근때문에 그냥 졸리다ㅋㅋ 피곤🩸하고ㅠㅠ



 
 
 
 

🏋🏻 운동! (19:00 -)

이제 3대 운동보단 좀 더 세분화해서 A,B루틴 안하는 날에는 가슴,삼두, 등,이두, 어께 위주로 해봐야겠다.
 
 

🏋🏻 운동 월간 계획:

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
(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
(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
 

🏋🏻 이번주:

(데드+등,이두)→A→(인클라인∙디클라인벤치, 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 오늘:  B루틴


 

 
 

📌 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5.1

3.5.2

3.5.3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2024 winter > ETRI(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RI 2024.01.22  (0) 2024.01.22
[ETRI] 2024.01.19  (0) 2024.01.19
[ETRI]2024.01.17  (0) 2024.01.17
[ETRI]2024.01.16  (0) 2024.01.16
[ETRI]2024.01.15  (0) 2024.01.15

🏢 ETRI (2024.01.17)

📌 01.16-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 출근! (8:30 - 9:00)

알람 못듣고 일어났다ㅋㅋㅋ 8시에...
그래도 타슈타고 정시도착!

30분정도 걸렸당

 
 
 
 

📖 공부! (9:00-12:00)

∙ Deep Learning(Bishop 2024): Chapter 3 이다.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아...할거 드~~~릅게 많다 진짜ㅋㅋ😱
 
 
 
 
 

🍚 밥이다 밥! (12:30~13:00)

마찬가지로 동편제(한식): 닭강정과 스파게뤼~

후식으로는 교수님께서 사주신 무려 4000원의 애플망고요거트 스무디~

인턴끝나기전에 모든 음료종류는 다먹어봐야징ㅎㅎ


 

 
 
 
 

 
 

💻 코드 작동시켜보기! (13:30-18:00)

아 슈밤...진짜 안되는거 천지...

 

 

 

 

 

 

 

 

 

 

 


 


 
 

 

 

 


 
 

🚍 퇴근! (18:30 - 19:00)

퇴근이 제일 좋다는 직장인의 말에 공감이 점점된다ㅋㅋㅋ
아침출근때문에 그냥 졸리다ㅋㅋ 피곤🩸하고ㅠㅠ



 
 
 
 

🏋🏻 운동! (19:00 -)

이제 3대 운동보단 좀 더 세분화해서 A,B루틴 안하는 날에는 가슴,삼두, 등,이두, 어께 위주로 해봐야겠다.
 
 

🏋🏻 운동 월간 계획:

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
(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
(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
 

🏋🏻 이번주:

(데드+등,이두)→A→(인클라인∙디클라인벤치, 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 오늘:  인클라인∙디클라인벤치, 삼두


 

 
 

📌 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2024 winter > ETRI(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RI] 2024.01.19  (0) 2024.01.19
[ETRI] 2024.01.18  (0) 2024.01.18
[ETRI]2024.01.16  (0) 2024.01.16
[ETRI]2024.01.15  (0) 2024.01.15
[ETRI]2024.01.12  (2) 2024.01.12

🏢 ETRI (2024.01.16)

📌 01.15-TODO List:

1. 논문저자에게 메일보내기!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 표본분포

4. 통계

5. 통계적 추론



 
 


 
 

 
 

🚍 출근! (8:10 - 8:25)

그냥 7시 25분에 알람 맞춰버렸다 ㅋㅋㅋ
그래도 밥은 맛있게 야무지게 먹고왔다 히히🤣
출퇴근은 셔틀버스가 역쉬 제일 빠른거 같다. (Shortest Path Algorithm?)
아 그리고 어제부터 새로운 루틴 추가하니 확실히 오늘 더 피곤하다 ㄹㅇ...
 

 
 
 
 

📖 공부! (8:30-12:00)

셔틀버스 타고 오는게 일찍공부할 수 있어서 이득인거 같다.
이제 남은 할일:
∙ 논문 review:
     논문 정리
     논문 review
     PPT만들기

∙ Deep Learning(Bishop 2024): Chapter 3 이다.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아 그리고 너무 뒷골 땡기고 목아프고 머리아파서
짜잔- 옛날에 다이소에서 산 목 마사지 기구를 들고왔는데 겨우 살만했다.
그래도 나름 효과가 준수하다?
 
아...할거 드~~~릅게 많다 진짜ㅋㅋ😱
 
 
 
 
 

🍚 밥이다 밥! (12:30~13:00)

마찬가지로 동편제(한식): 오늘은 개꿀맛! 불향 불고기라니!!

거기다가 카페에서 교수님께서 Java 프라푸치노도 사주셨당 히히
 
 

 
 
 
 

 
 

💻 서버 뚝딱뚝딱! (13:30-18:00)

서버 cuda랑 cuDNN 깔고 python깔고 pip랑 pip3 링킹하고 Pytorch까지 깔아줌으로써 마무리!
 
1. Server 구축 및 IP주소 ssh로 접속 이후 cuda 깔기. (runfile(local) 설치)

 

CUDA Toolkit 11.8 Downloads

 

developer.nvidia.com

sudo apt install nvidia-cuda-toolkit
sudo sh cuda_11.8.0_520.61.05_linux.run

 
다만 기존 nvidia driver가 존재 시, 위 코드에 대해 아래 사진처럼오류발생가능...

이러면 아래 코드를 실행해주자.

sudo apt-get purge nvidia*
sudo apt-get autoremove
sudo apt-get autoclean
nvidia-smi

 
 
2. cuDNN 깔기
cf) NVIDIA 회원가입이 필요.(Local Installer for Linux x86_64(Tar) 다운받으면 된다.)

 

cuDNN Archive

Download releases from the GPU-accelerated primitive library for deep neural networks.

developer.nvidia.com

$ nvcc --version

# 압축 풀기, 압축을 풀면 archive로 끝나는 폴더가 생성된다.
$ tar -xvf cudnn-linux-x86_64-8.x.x.x_cudaX.Y-archive.tar.xz 

# 아래부터는 파일을 cuda에 복사하기
sudo cp include/cudnn* /usr/local/cuda-11.0/include
sudo cp lib64/libcudnn* /usr/local/cuda-11.0/lib64/
sudo chmod a+r /usr/local/cuda-11.0/lib64/libcudnn*

# cuDNN 설치확인:
cat /usr/local/cuda/include/cudnn_version.h | grep CUDNN_MAJOR -A 2

 
 



cf) python, pip 깔고 pip3, python3를 pip, python으로 연결

sudo apt-get install python3-pip
nano ~/.bashrc

 
맨 마지막 줄에 아래 코드 추가

alias python=python3
alias pip='pip3'
source ~/.bashrc


 
 

sudo apt-get install unzip
pip install transformers torch torchvision pytorch-lightning wandb numpy pandas pillow opencv-python matplotlib
pip install -U ultralytics

 
 
 

🚍 퇴근! (18:30 - 19:00)

퇴근이 제일 좋다는 직장인의 말에 공감이 점점된다ㅋㅋㅋ
아침출근때문에 그냥 졸리다ㅋㅋ 피곤🩸하고ㅠㅠ



 
 
 
 

🏋🏻 운동! (19:00 -)

이제 3대 운동보단 좀 더 세분화해서 A,B루틴 안하는 날에는 가슴,삼두, 등,이두, 어께 위주로 해봐야겠다.
 
 

🏋🏻 운동 월간 계획:

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
(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A→
(벤치,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B→(데드+등,이두)→
 

🏋🏻 이번주:

(데드+등,이두)→A→(인클라인,디클라인벤치, 삼두)→B→(데드+등,이두)→A→(벤치,삼두)
 

🏋🏻 오늘: A루틴


 

 
 

📌 TODO List:

1. DAOD적용




2. 주중에 할 것: Deep Learning 2024(Bishop)
- Chapter 2: Exercise 풀기.

- Chapter 3 읽고 공부하기
3.1. Discrete Variables
3.2. The Multivariate Gaussian
3.3. Periodic Variables
3.4. The Exponential Family
3.5. Nonparametric Methods

3. Student t분포 및 가설검정 다시 공부하기.


 

'2024 winter > ETRI(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RI] 2024.01.18  (0) 2024.01.18
[ETRI]2024.01.17  (0) 2024.01.17
[ETRI]2024.01.15  (0) 2024.01.15
[ETRI]2024.01.12  (2) 2024.01.12
[ETRI]2024.01.11  (0) 2024.01.11

+ Recent posts